매일신문

'대장동 블랙홀' 빨려든 국감…'특검' 피켓에 곳곳 충돌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1년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회의장에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1년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회의장에 '이재명 판교 대장동게이트 특검 수용하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입장한 것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이 항의하며 퇴장, 파행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는 문재인 정부 마지막 국회 국정감사 첫날인 1일 정국 최대 이슈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등으로 정면충돌하며 파행을 빚었다.

전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야당 의원들이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관련 특별검사 도입을 압박하는 문구를 담은 피켓을 들고 나왔고, 여당 의원들이 강력 반발해 감사가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진 것.

이날 국회에서는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교육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등 7개 상임위에서 소관 기관을 상대로 국감이 열렸다.

그러나 감사 시작도 하기 전 여야는 강 대 강 대치를 벌였다. 국민의힘이 '특검을 거부하는 자가 범인이다' '이재명 판교 대장동게이트 특검 수용하라' 등의 문구가 담긴 피켓을 자신의 책상과 노트북 등에 부착했고, 이를 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회의 진행 방해 물건 등의 반입 금지'를 명시한 국회법을 들며 항의해 감사가 중단되거나 개회가 미뤄졌다.

2021년 국정감사가 시작된 1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법원(법원행정처), 사법연수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유상범 의원이
2021년 국정감사가 시작된 1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법원(법원행정처), 사법연수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유상범 의원이 "부착된 피켓을 떼라고 요구하고, 떼지 않을 경우 정회 필요"라고 적힌 더불어민주당의 지침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여야는 이날 게시물 부착에 대해 논쟁을 벌이다 국감을 정회했다. 연합뉴스

이번 의혹 관련 핵심 상임위인 법사위도 야당이 갖고 나온 피켓을 여당이 문제 삼으며 감사 시작 한 시간을 넘기지 못하고 멈춰 섰다. 경기도청을 피감기관으로 둔 행안위 역시 여야 갈등 끝에 감사 개시 24분 만에 중단됐다.

남북정상회담 전망, 북한 미사일 발사 등이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한 외통위마저 야당의 부착물 문제로 정회됐다. 과방위는 피켓 문제로 아예 오전 감사를 시작조차 못했다. 국무조정실을 대상으로 한 정무위 국감에서는 대장동 의혹 관련 증인 채택 여부를 놓고 날선 신경전이 벌어지다가 결국 여야 간사 간 협의를 위해 정회했다.

특히 교육위에서는 화천대유로부터 아들이 퇴직금 50억원을 받아 논란에 휩싸인 곽상도 무소속 의원(대구 중남구)의 국정감사 참여를 두고 여야가 대립해 국정감사가 시작 50여 분만에 중단됐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 측은 곽 의원을 겨냥해 '돈 받은 자가 범인이다'라는 피켓으로 맞불 작전을 펼치기도 했다.

한편, 문체위 국정감사에서는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놓고 여야가 법안을 국회 본회의에 상정하지 않고 특위를 구성해 논의를 이어가기로 한 것을 두고 책임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국민의힘 문체위 간사를 맡은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은 "문체위에서 기립 표결, 안건조정위 등 변칙적인 의사 진행이 있었다"며 여당의 상임위 강행처리를 문제 삼았다. 민주당 간사인 박정 의원은 "내용적으로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고 반박했다.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국무조정실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이 정회가 된 뒤 감사장을 나서고 있다. 이날 정무위 등 대부분의 상임위 국정감사에서 대장동 개발 의혹을 둘러싼 공방으로 파행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국무조정실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이 정회가 된 뒤 감사장을 나서고 있다. 이날 정무위 등 대부분의 상임위 국정감사에서 대장동 개발 의혹을 둘러싼 공방으로 파행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