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양국의 협력을 강조하며 일본에 대해 "격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양국은 함께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중요한 파트너"라고 말했다.
16일 이 대통령은 서울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축하 행사에서 영상 메시지를 통해 "그간의 성과와 발전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한일관계에 안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발전이 이뤄지길 소망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이날 이 대통령은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출국한 관계로 행사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 영상 메시지로 대신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주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통화에서 새 시대가 요구하는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만들어 나가자고 말씀드렸다"며 "곧 있을 G7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앞으로 총리님과 신뢰와 우정을 쌓아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오늘 리셉션이 한일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믿는다"라며 "두 손을 맞잡고 더 나은 미래로 함께 나아가자"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한일 간 교류 역사에 대해 "1965년 6월 22일 한일 기본조약과 부속 협정을 체결하며 양국 간에 새로운 협력의 시대가 시작됐다"며 "이후 60년간 우리 양국은 경제, 문화,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발전을 함께 이뤄왔다"고 강조했다.
또 "1965년 당시 약 2억 달러 규모였던 교역 규모가 2024년에는 약 700억 달러를 넘어서 350배가량 증가했고, 연간 1만명 수준이던 인적 교류가 이제 1천200만명을 돌파했다"며 "2002년 월드컵은 양 국민을 하나로 이어주었고, 문화교류도 매우 깊어졌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G7 정상회의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9일 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어 두번째 해외정상과의 통화를 이시바 총리와 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보다 먼저 통화한 것에 대해 한일관계에 중요도를 반영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