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제계는 23일 군부 독재의 상징과도 같은 전두환 전 대통령 별세와 관련, 대한민국 역사에 씻을 수 없는 큰 상처를 남겼지만 산업‧경제 성장의 밑거름을 마련하는 성과는 있었다고 평가했다.
전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 지역 대표 섬유기업인으로 활약한 노희찬 전 대구상공회의소 회장(현 삼일방직 회장)은 "1980년대는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을 모두 잡은 시절"이라고 했다.
노 회장은 "한국 경제의 기틀을 닦은 사람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지만, 고도압축성장 이후의 물가 폭등을 잡고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 것은 전두환 정부"라며 "공권력의 개입과 시장의 자유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군인 출신인 전 전 대통령이 그런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건 경제는 경제 전문가에게 맡기는 용병술 덕"이라며 "김재익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에게 '경제는 자네가 대통령이야'라고 한 상징적인 일화도 같은 맥락이다"고 덧붙였다.
노 회장은 전두환 정부의 가장 인상적인 업적으로는 88서울올림픽 유치를 꼽았다.
그는 "당시 수출기업들은 모두 88서울올림픽의 놀라운 힘을 체감했을 것이다. 유럽 등 해외에 출장을 가면 아무도 한국이란 나라를 모르던 시절이 있었다"며 "그러나 1987년에 독일에 출장을 가게 됐는데, 택시기사도 '코리아'라고 하면 다 알아들었다.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에서는 엄청난 경쟁력을 확보했던 셈"이라고 했다.
노 회장은 "80년대 초 폴란드에 출장을 가 유연탄 열병합발전소의 우수성을 확인한 뒤 보고서를 작성한 적이 있는데, 이것이 청와대까지 흘러갔다"며 "이후 대구염색산업공단은 물론 구미, 울산 등에도 유연탄 열병합발전소가 보급될 수 있었다. 지금도 양질의 증기를 저렴하게 공급해 지역 염색업계에 큰 도움을 주는 시설 중 하나"라며 지역 섬유산업과 얽힌 일화도 전했다.
중소기업계도 전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성과를 언급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3일 '전두환 제11대·제12대 대통령 별세에 대한 중소기업계 입장'을 내고 "고인은 대통령 재임 시절 중소기업 진흥 10개년 계획 추진, 유망 중소기업 1만개 육성, 중소기업 경영안정 및 구조조정 촉진법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양적 성장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