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요 기업 절반, 내년 투자계획 없거나 미정"

한경연, 500대 기업 내년 투자계획 조사…투자환경 체감도 65.7점

지난 8일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연구원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체를 분석, 오미크론 등 변이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8일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연구원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체를 분석, 오미크론 등 변이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 기업 절반가량은 내년 투자계획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를 통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2년 투자계획' 설문조사 결과, 응답 기업 101개사의 49.5%는 내년도 투자계획이 없거나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고 13일 밝혔다.

내년 투자계획을 세운 기업은 50.5%다. 이 중 62.7%는 내년 투자를 올해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었다. 올해보다 늘리겠다는 기업은 31.4%, 줄이겠다는 기업은 5.9%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올해 3분기까지 500대 기업의 63.8%가 전년 동기 대비 투자를 줄였다며, 내년에는 코로나19 변이 오미크론 확산 등의 요인으로 기업이 투자를 결정하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될 수 있다고 내다봐다.

내년 투자를 올해보다 늘리지 않겠다고 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경제 전망 불투명'과 '주요 투자 프로젝트 종료'(각각 31.8%)를 꼽았다.

내년 투자를 늘리겠다는 기업들은 '산업 내 경쟁력 확보'(50.0%)를 가장 주요한 이유로 들었다.

기업이 체감하는 국내 투자환경은 100점 만점에 65.7점으로 조사됐다.

기업은 국내 투자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고용 및 노동 규제'(35.3%)를 가장 많이 꼽았다.

투자를 활성화하려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40.6%가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를 선택했다.

아울러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8.4%)은 내년 경제환경이 올해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24.8%,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은 16.8%였다.

내년 투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로는 52.9%가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용 부담 증가'를 가장 많이 언급했다.

한경연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 원자재 가격 상승 장기화,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경영 불안 요소가 여전히 산적해 기업이 섣불리 투자를 확대하기는 조심스러운 상황"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