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코로나19 중환자·사망자 급증 ‘위드 코로나’ 비상 조치 내야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를 일단 멈춰야 한다는 의료계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5일 연속 800명대 후반을 기록하며 의료 부담을 가중시키더니 급기야 900명(14일 0시 기준 906명)을 넘어섰다. 일일 사망자도 100명에 육박(14일 0시 기준 94명)해 최근 7일간 하루 평균 사망자 61명을 크게 넘어섰다. 고령 중증 환자의 경우 '연명치료'(인공호흡기·심폐소생술 등) 포기 각서를 작성해야 입원할 수 있다는 소리가 나올 만큼 코로나 중증 병상 부족이 심각하다. 의료 체계가 붕괴 직전에 이른 만큼 우선 시간을 벌어야 한다는 것이다.

의료인들은 "의료 인력만 쥐어짜는 K방역으로 더 이상 버틸 수 없다"며 "긴급 멈춤을 통해 유행 증가 속도를 억제하고 중환자 규모를 줄여야 국민 생명을 지킬 수 있다"고 호소한다. 상황이 매우 위태롭다는 것을 알지만 정부는 망설이고 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4일 "오래 희생해 온 자영업자 등을 생각하면 경제 회복을 멈추는 것이 국민을 위한 길은 아니다"면서도 "우물쭈물하지 않겠다. 수요일(15일), 목요일(16일) 상황을 지켜보자"고 말했다.

정부 당국의 어려운 입장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19 중증 환자 전담 병상은 가동률 81.8%, 가용 병상은 235개에 불과하다. 감염병 전담 병원 일반 병상도 가동률 76.1%에 이른다. 여기에 정부가 대학병원 등에 코로나 중증 환자를 위해 병상을 차출하면서 일반 환자들이 입원할 병상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 전담 의료 인력도 부족해 일반 환자 진료 인력을 차출함에 따라 다른 진료나 수술이 후순위로 밀리는 형편이다.

정부는 1, 2주 동안이라도 '수도권 위드 코로나 중단'과 같은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지방 도시들도 비상 대응에 들어가야 한다. 오늘 당장 얼마나 많은 신규 확진자, 중증 환자, 사망자가 나올지 알 수 없다. 실기할 경우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소나기는 피하고 봐야 한다'는 말이 꼭 맞는 상황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