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은, 기준금리 0.25%p 인상 연 1.25%…22개월만 코로나 이전 수준

작년 11월 이어 두 차례 연속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지난해 11월에 이어 이달에도 이례적으로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기준금리가 22개월만에 코로나19 직전 수준(1.25%)에 이르렀다.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2회 연속 인상한 것은 2007년 7월과 8월 이후 14년여 만의 일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14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1.00%인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3%를 넘는 높은 물가, 가계부채·부동산 가격 상승 등 누적된 금융불균형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수출을 중심으로 국내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경제, 소비 지표도 호조되고 있는 현 경제 상황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금통위는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낮추는 이른바 '빅컷'(1.25%→0.75%)을 단행했고, 두달 뒤인 5월 추가 인하(0.75%→0.50%)했다.

이후 기준금리는 같은 해 7, 8, 10, 11월과 작년 1, 2, 4, 5, 7월 무려 아홉 번의 동결을 거쳐 8월 마침내 15개월 만에 0.25%포인트 인상(0.50%→0.75%)됐고, 11월과 이날 0.25%포인트씩 두 차례 잇따라 올랐다.

시장과 전문가들은 기준금리가 올해에만 한두 차례 더 인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해 11월 금통위 직후 "이번 인상으로 기준금리가 1.00%가 됐지만, 성장과 물가 흐름에 비춰볼 때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며 "실질 기준금리는 여전히 마이너스(-)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중립 금리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최근 가계대출 규모가 조금 줄었다지만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하다"고 진단한 바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