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만 2년째 지속되면서 골목상권 자영업자 10명 중 4명은 매출 감소 등으로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도소매업, 기타 서비스업 등을 하는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2021년 실적 및 2022년 전망 조사'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65.4%는 올해 매출이 작년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63.6%는 순이익 감소도 예상했다.
본인과 가족을 제외하고 종업원에 대한 고용은 지난해와 비슷하게 유지(65.2%)하겠다는 답이 가장 많았고 감원(32.8%)이 그 뒤를 이었다. 증원을 원하는 비율은 2.0%에 불과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영상 어려움이 계속되면서 자영업자의 40.8%는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그 이유로는 '매출·순이익 등 영업실적 감소'가 28.2%로 가장 높았고, '자금 사정 악화·대출 상환 부담'(17.8%)이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임차료·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17.5%), '코로나19 종식 후에도 경기회복 가능성 작음'(1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폐업을 고려하지 않는 자영업자의 23.8%는 특별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었다. '코로나19 종식 후에는 경기회복을 기대한다'(19.5%)는 이유도 있었다.
올해 예상되는 큰 어려운 점으로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전반적인 소비심리 회복 한계'(30.7%)가 가장 많이 꼽혔다. 뒤이어 '사회적 거리두기·영업시간 제한에 따른 오프라인 매출 개선 한계'(22.9%), '물가 상승에 따른 재료매입비 부담'(12.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가장 확대해야 할 정부 지원책으로 '소비 촉진 지원책 확대'(16.0%)가 가장 높았다. 이어 '저금리 대출 등 금융지원 확대'(14.1%), '영업 손실 보상 확대'(13.3%),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1.3%), '자금지원 확대'(9.7%) 등 순으로 조사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