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두고 미국, 유럽 등 서방 국가와 러시아 간의 대립이 격화되는 가운데 대구경북의 수입‧수출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역 업체들도 숨을 죽인 채 앞으로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러시아가 침공을 감행한다면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도 국제사회의 대(對)러시아 경제 제재에 동참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러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수출입 활동에 급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25일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가 발표한 '대러시아 경제제재 단행시 대구경북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러시아는 대구경북지역에서 영향력 있는 수출국 중 하나다.
지난해 기준 대구의 대러시아 수출액은 약 1억6천100만달러로, 전체 수출국 중 8위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수출 규모 대비 약 2%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부품(4천579만달러), 의료용기기(1천159만달러)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러시아에 승용차(6억685만달러), 자동차부품(2천833만달러)을 주로 수출하고 있으며 지난해 수출 규모는 7억9천3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액의 1.8%에 해당하는 규모다.
보고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 예상되는 서방 국가의 경제 제재로 ▷달러화 결제 시스템 배제 ▷특정 인물·기관·거래 대상 경제제재 ▷특정품목에 대한 수출통제 등을 꼽았다.
지역의 수출업체도 긴장감 속에서 이번 사태를 지켜보는 중이다.
전체 수출액의 약 30%가량이 러시아에서 발생하는 대구의 한 자동차부품업체 관계자는 "만약 전쟁이 일어난다면 현지시장에 어떤 식으로든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러시아가 달러화 결제 시스템에서 분리된다면 무역이 사실상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 역시 큰 걱정거리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구경북은 주요 수출품 생산에 필요한 유·무연탄, 선철, 백금 등 원·부자재의 대부분을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백금의 경우 러시아산 의존도가 100%에 달했다.
김인근 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 팀장은 "정부 및 관계기관은 원자재 수급동향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무역업계는 중요 원자재 수입선 다변화를 통해 러시아발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