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해 수출 전망, 車·석유제품 '맑음', 철강·조선 '흐림'

전경련, 6개 산업 수출 전망…반도체-디스플레이 소폭 감소 예상

2022년 주요산업 수출 전망 요약. 전경련 제공
2022년 주요산업 수출 전망 요약. 전경련 제공

올해 자동차, 석유제품은 수요확대로 인한 수출증가가 예상되지만 철강과 조선은 가격하락과 생산 차질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27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반도체·자동차·석유제품·철강·조선·디스플레이 등 6개 주요 산업의 수출 전망에 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우선 올해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 465억달러 대비 6.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제 회복으로 소비심리가 개선되고, 주요국들이 탄소중립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 보급 확대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세계 자동차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지속과 중국 완성차 업체의 급성장은 수출 확대 폭을 제한하는 요소로 지적됐다.

석유제품 수출은 세계 경기회복에 더해 대체재인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상승으로 지난해 382억달러에서 14.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이 지난해 8월부터 석유제품의 수출을 제한한 것도 수출 단가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올해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1천280억달러 대비 2.0%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데이터를 해석·처리하는 시스템 반도체 부문은 성장할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저장용 메모리반도체의 가격은 공급 과잉에 따라 하락할 수 있는 상황이다.

디스플레이 수출도 지난해 214억달러에서 1.4%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이후 급증했던 TV 수요가 감소하면서 대형 디스플레이 수요가 줄 것이란 분석이다. 또 중국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것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철강 수출은 작년 364억달러에서 8.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선진국들이 경기부양책으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중국 부동산 시장 침체와 경제성장 둔화로 수요 증가폭은 제한될 전망이다. 공급 부족으로 급등했던 철강 가격도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조선 수주는 지난해 420억달러 대비 19.0%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우리나라 조선업종은 주 52시간제 도입 등의 영향으로 인력난이 지속되고 있어 선박 생산에 차질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올해는 글로벌 경기회복이 예상되나, 글로벌 공급망 복구 지연, 보호무역주의 등의 리스크 요인은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조선은 인력 보충을 통해 생산능력을 제고하고, 철강은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