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통령 선거 첫 방송 토론이 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윤석열 국민의힘·안철수 국민의당·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 간 4자 토론으로 열렸다. 부동산과 외교·안보, 일자리·성장 등의 주제로 후보 상호 검증에 나섰지만 이번 대선이 초박빙의 양강구도인 탓에 결국 이 후보를 겨냥한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놓고 네거티브 양상이 빚어지기도 했다.
이날 원내 정당 대선 후보 4인은 서울 영등포구 KBS 공개홀에서 열린 지상파 방송 3사(KBS·MBC·SBS) 합동 초청 대선 후보 토론 시작 전부터 저마다 '준비된 후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먼저 심 후보는 "경제 중심에서 녹색 복지로 시대 전환"을 강조하며 차별화를 꾀했다. 성남시장, 경기도지사를 지낸 이 후보는 "민생과 경제를 챙길 유능한 경제 대통령"을 자처했다. 최근 지지율 상승세를 탄 윤 후보는 "국민께서 저를 불러주시고 이끌어주시고 가르쳐주셔서 오늘 제가 여기까지 왔다"면서 자세를 낮췄다. 안 후보는 "국민을 통합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대통령 후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토론은 시작부터 대장동 의혹으로 불꽃이 튀었다.
윤 후보는 작심한 듯 주도권 토론에서 주어진 시간을 모두 대장동 의혹 관련 공세에 투입, "합쳐서 3억5천만원 넣은 사람들한테 1조원 가까운 이익이 돌아가게 설계를 했느냐 이걸 묻는 것", "개발사업에서 특정 사람에게 상한선 캡을 씌우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이 후보를 몰아붙였다.
이에 이 후보도 "(윤 후보가) 저축은행 대출비리는 왜 봐줬을까. 우연히 김만배의 누나는 (윤 후보) 아버지의 집을 샀을까"라고 되치기를 했는가 하면 "여기는 특검(특별검사)을 뽑는 자리가 아니라 대통령을 뽑는 자리"라고 받아넘기기도 했다.
외교·안보 분야 정책을 놓고도 후보들은 윤 후보가 공약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추가 배치를 두고 격론을 벌였다.
이 후보는 "사드는 수도권은 (방어 효과가) 해당이 없는데, 왜 그걸 다시 설치해서 중국의 반발을 불러와 경제를 망치려고 하느냐"고 따져물었다.
윤 후보는 "북한에서 수도권을 겨냥할 때는 고각 발사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당연히 수도권에 필요하다"며 "위치는 군사적으로 정해야 하는 문제"라고 답했다.
심 후보는 "사드 배치 얘기는 안보 포퓰리즘"이라고 꼬집자 윤 후보는 "격투기 싸움할 때 옆구리·다리·머리 공격하면 다 방어하면 된다"고 맞받기도 했다.
토론 중 '누가 대통령이 되든 국민연금 개혁에 나서겠다'는 즉석 합의도 이뤄졌다. 안 후보가 연금 개혁의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제기하며 "국민연금 개혁을 하겠다고 (모든 후보가) 공동 선언하는 게 어떻냐"고 제안하자, 다른 후보들이 공감을 표시하면서다.
한편, 이번 토론은 두 차례 주제 토론과 두 차례 주도권 토론으로 구성됐다. 네 후보는 부동산과 외교·안보를 주제로 20분씩 주제 토론을 진행했다. 주제토론 과정에서는 후보 1인당 5분간 발언할 수 있는 '발언총량제'가 적용됐다. 자유 주제와 일자리·성장을 주제로는 후보 당 7분씩 주도권을 갖고 상대 후보에게 질문을 던지는 주도권 토론이 진행됐다. 주도권을 가진 후보는 최소 두 명의 상대 후보에게 질문하도록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