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선 후보들 대구경북 공약 ‘그 나물에 그 밥’

제20대 대통령 선거전에서 양강을 형성하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대구경북(TK) 지역 공약이 재탕, 삼탕, 그 나물에 그 밥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후보는 대구경북 맞춤형 공약으로 ▷도심 군기지 이전 ▷K-뮤지컬과 함께하는 예술도시 육성, ▷친환경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 ▷백신·의료산업 벨트 조성 등(대구, 경북 각 7개씩)을 제시했다. 윤 후보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속 추진 ▷대구경북 경제과학연구소 설립 ▷5+1 미래신산업 육성 ▷낙동강 수계 취수원 다변화 ▷경북 북부 바이오신약개발클러스터 조성 ▷차세대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산업 육성 ▷포항 영일만 대교 건설(대구, 경북 각 10개씩)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들 공약 대부분은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지난해 말 제안한 내용을 답습하는 데 그친다. 그나마 이 후보의 ▷육군사관학교 안동 이전, 윤 후보의 ▷낙동강 수계 취수원 다변화 ▷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 등이 새롭거나 오래 해결 못 한 현안일 뿐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대구산업단지의 업체당 생산액은 24억 원으로 전국 산업단지 중 꼴찌를 기록했다. 생산액이 가장 높은 울산 780억 원에 비하면 무려 32.5배 차이가 나고, 전국 평균 78억 원의 31%에 그친다. 대구보다 도시 규모가 훨씬 작은 광주(74억 원), 대전(64억 원), 제주(36억 원)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난다. GRDP(지역내총생산)도 28년 연속 전국 꼴찌를 기록했고, 월평균 임금 역시 전국 광역시도 중 꼴찌 수준이다. 대구에 대기업이 없는 데다 생산성이 낮은 서비스업과 노동 집약의 제조업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니 청년들이 떠나고, 인구가 줄어들고, 대구시가 갈수록 작아지는 악순환이 거듭되는 것이다.

총선, 지방선거, 대선 등 선거 때마다 많은 후보들이 "대구 경제 체질을 바꾸겠다"고 큰소리쳤지만 경제지표는 나아지지 않았다. 대구경북의 경제 문제는 지역 차원의 문제만도, 정부 차원의 문제만도 아니다. 대구시·경북도와 중앙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변화를 모색, 추진해야 한다. 하지만 명색이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라는 것이 지역이 지금까지 요구해 온 수준에서 머문다는 점, 대구경북을 확 바꿀 만한 '어젠다급' 공약이 없다는 점은 매우 아쉽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