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제철 보상 잔혹사 있었기에 광양제철 파격적 보상

[포스코 탈포항 논란] 포항제철 산 증인 이대공 포스코 전 교육재단이사장의 회고

지난해 9월 포항11.15촉발지진범시민대책위원회 이대공 공동위원장이 정부 조사단의 포항지진 진상조사 결과를 비판하며 특검을 통한 전면 재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지난해 9월 포항11.15촉발지진범시민대책위원회 이대공 공동위원장이 정부 조사단의 포항지진 진상조사 결과를 비판하며 특검을 통한 전면 재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매일신문DB

포스코 지주사가 포항을 떠나면 안 되는 이유 중 하나로 지적되는 것이 포항제철로 설립 당시 포항지역의 희생을 기억하고 두고두고 상생해야 한다는 창립자 고 박태준 회장의 유지이다.

고 박 회장과 포항제철 창립을 함께 했던 퇴직자들은 포항제철 설립 당시 제대로 된 부지 보상이나 어업권 보상이 이뤄지지 않았고 이를 가슴 아프게 생각한 고 박 회장이 포항제철 광양제철소를 건설할 때는 제대로 보상을 지시했던 것으로 회고하고 있다.

포스코 지주사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에 참가한 이대공(82) 전 포스코교육재단이사장은 "지난 1967년 10월 1일 장기영 국회부의장이 포항 송도에 와서 저 자리가 포항제철이 설 자리다고 했다. 이미 포항제철이라는 이름도 고 박정희 대통령이 미리 직접 정한 것이다"고 했다.

이 전 이사장은 "당시 땅을 반값도 안 되는 가격에 수용했다. 우리나라가 돈이 없기 때문에 부득이 주민들의 희생이 뒤따랐다. 내가 증인이기도 하다. 내 땅이 효자 검문소(포항시 남구) 방향에서 제철소로 들어가는 쪽 539평을 2천700원에 샀는데 3년 만에 900원에 강제 수용 당했다"고 했다.

이 전 이사장은 "그래서 이러한 보상 과정에서 지역민들의 희생에 대해 박태준 회장은 굉장히 마음 아프게 생각했다. 두고두고 포항에 주소를 두고 세금을 내라는 유지를 남겼다"고 했다.

하지만 포항의 보상 잔혹사를 기억한 고 박 전 회장은 1980년대 중반에 시작된 포항제철 광양제철소 조성에 대한 파격적 보상을 지시했다.

이 전 이사장은 "갯벌에 지어야 하는데 조개를 잡아 애들 공부시키고 생업을 한 주민들에 대한 보상 문제가 있었다. 당시에는 국영기업이라 근거(매출자료) 없는 보상은 감사원 감사 대상이었다. 정상적으로는 불가능했다"고 했다.

결국 주민들과의 송사는 근거를 남기기 위한 불가피한 과정이었다.

이 전 이사장은 "당시 재판관이 고교·대학 동기 동창인 송모 부장판사였다. 송 판사가 '주민들이 살아있고 애들 대학시킨 게 증거로 보고 보상할 수 있다'고 해 이를 박태준 회장에게 이를 보고하니 박 회장은 '송 부장판사한테 되레 최고액으로 판결해 달라는 뜻 전하라'고도 했다"고 기억했다.

이 전 이사장은 "그래서 송 부장판사를 만나서 박 회장님의 뜻을 전했고 제대로 보상이 이뤄 질 수 있었다. 박태준 회장은 포항제철 건설 당시 반값 이하로 남의 땅을 빼앗다시피 해 너무나 가슴 아프게 생각해 광양에 제대로 보상을 하고 포항에 진 빚은 두고두고 갚아야 한다고 했다"고 회고했다.

이 전 이사장은 포항제철의 출발부터 고 박 회장의 가까이에서 오랫동안 일한 포항제철의 산증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