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오미크론 유행으로 인한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가 풍토병(엔데믹)으로 자리 잡는 과정이라는 정부 입장이 나왔다.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지만 치명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낮은 중증화율 가운데 대규모 유행을 지나는 것이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1일 코로나19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의 특성상 유행이 빠르지만, 위중증·치명률은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며 "너무 과민하게 반응하면서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델타 변이의 치명률은 0.7% 정도였고, 오미크론은 0.18% 수준"이라며 "계절 독감 치명률인 0.05∼0.1%에 비하면 2배 정도지만, 델타 변이 유행 당시 치명률과 비교하면 안정적인 수치"라고 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델타·오미크론 변이 감염이 확정된 6만7천207명을 대상으로 중증도를 비교한 결과, 오미크론의 중증화율은 0.38%, 치명률은 0.18%로 나타났다. 델타 변이의 중증화율 1.40%, 치명률 0.70%와 비교해 약 4분의 1 수준이다. 특히 60대 이하 젊은 연령층의 오미크론 중증화율은 나이대에 따라 0.03~0.08%, 치명률은 0~0.03%로 더 낮다.
손 반장은 "한 차례 정도 큰 유행을 거치면서 '엔데믹'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이 과정에서 델타보다는 오미크론이 유행하는 상황이 더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오미크론 유행이 2월 말이나 3월 중에 정점에 달하고, 하루 최대 14만~27만 명의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국내외 연구기관 10곳이 수행한 코로나19 유행 전망을 종합한 이 같은 예측을 밝혔다.
이에 따르면 3월 초부터 하루 확진자가 17만 명을 넘어서고, 400명대 수준인 위중증 환자는 1천 명 이상으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정부는 중환자 발생을 줄이고자 감염 취약군에 대한 백신 접종을 독려하고, 먹는 치료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중환자는 '60대 이상 고령층'과 '미접종자' 그룹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며 "특히 60대 이상 미접종군이 중증화율과 치명률을 상승시키는 주요 집단이므로, 중증화 억제를 위해서 요양병원·시설에서 4차 접종을 진행하거나 노바백스 백신을 활용하는 등 최대한 접종을 확대하고 있다"고 했다.
또 "고령층에 대한 먹는 치료제 처방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면서 위중증으로 악화하는 것을 막고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