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소득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정부가 실시하는 청년희망적금 지원대상에 국내 거주 외국인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일각에서는 소득과 연령 등 가입 조건을 완화하는 등 자국민을 우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청년희망적금은 중·저소득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비과세 혜택과 저축장려금을 지원하는 금융상품으로, 신청 대상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이다.
소득은 직전 과세기간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전전년도(2020년 1월~12월) 소득으로 요건과 가입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총급여가 3천600만원 이하로, 종합소득세 기준 2천600만원 이하여야 한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2% 수준인 시중은행 적금보다 5배 가깝게 이자가 높고 비과세 혜택을 포함하면 금리 연 9.49% 이상, 최대 연 10.49%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출시 전부터 청년들의 관심이 높았다.
일각에서는 내국인 뿐 아니라 국내에서 일정기간 이상 일하며 세금을 낸 외국인 청년 근로자도 대상에 포함키로 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소득과 연령 등 가입조건을 완화하는 등 자국민을 우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반응은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서도 이어졌다. 한 누리꾼은 "지금 청년층이 가지는 상대적 박탈감이 젠더·세대갈등 부동산 폭등 등 내국인 고유의 가치관에서 기인함을 생각한다면 비교적 이슈와 동떨어진 언제든지 본국으로 돌아가도 이상하지 않을 외국인도 같은 혜택을 누린다는 게 씁쓸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국내에서 과세되는 소득이 있는 외국인의 경우에도 소득요건을 갖추고 183일 이상 국내에 거주했다면 가입이 가능하다"며 "다만, 모든 외국인이 아니라 국내에 1년 중 일정기간 이상 거주하고 세금을 내는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