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지난달 수출이 작년 2월보다 20.6% 증가해 역대 2월 가운데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실적에 힘입어 무역수지는 석 달 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월 수출이 작년 2월 대비 20.6% 증가한 539억1천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2월 중 최고 기록. 2월 수출액이 500억달러를 돌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일평균 수출액(26억9천600만달러) 역시 역대 최고다. 수출은 16개월 연속 증가했다.
15대 주요 품목 가운데 자동차부품(-1.1%)을 제외한 14개 품목의 수출이 늘었다. 석유제품(66.2%), 컴퓨터(44.5%), 철강(40.1%), 디스플레이(39.2%), 석유화학(24.7%), 반도체(24.0%), 가전(14.6%) 등 우리 주력 품목이 수출 증가세가 눈에 띄었다. 특히 반도체는 10개월 연속 수출 100억달러를 달성했다.
지역적으로도 고르게 수출이 늘었다. 주요 4대 시장으로 꼽히는 아세안(38.4%), 미국(20.9%), 중국(16.0%), 유럽연합(EU·8.6%) 시장 수출이 역대 2월 중 최고치를 달성했다. 중남미(18.1%)와 인도(4.9%) 등 신흥시장을 향한 수출도 증가했다.
수출에 있어 아직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대(對) 러시아 수출이 전체의 73%를 차지하는 CIS(독립국가연합)로의 수출도 45.6% 늘어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입 역시 530억7천만달러로 25.1% 늘어 역대 2월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에너지 가격이 상승한 여파로 원유와 가스, 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이 작년 2월 대비 43억4천만달러 늘어난 125억달러로 집계됐다.
그럼에도 무역수지는 8억4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입이 늘었으나 수출 증가 폭이 더 컸던 덕분이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2월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한 건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와 국제 공급망 재편 등으로 우리 경제가 어려운 가운데서 이뤄내 더 의미 있는 성과"라며 "대외 요인이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수출 증가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 대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