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진·삼척 화재 현장·대피소 찾은 文대통령 "정부 나서 적극 복구할 것"

산불피해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
상심한 주민들 직접 방문 위로…지역 명소 금강송 군락지 언급
"소중한 곳이니 최대한 방어를"

경북·강원 산불 현장 방문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이 6일 경북 울진군 신화2리 화재현장을 방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강원 산불 현장 방문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이 6일 경북 울진군 신화2리 화재현장을 방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재앙 수준의 산불이 난 경북 울진군과 강원 삼척시를 방문, 피해 현황을 둘러본 뒤 이재민들의 하소연을 들으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복구를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45분쯤 경북 울진국민체육진흥센터에 마련된 이재민 대피소를 찾아 "대통령이 직접 오면 수습도, 복구도 빨라지고, 어르신들에게도 위로가 될까 싶어 왔다"고 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대부분 고령층인 주민들을 만나 바닥에 함께 앉은 상태에서 대화를 나눴고 중간중간 주민들의 손을 잡고 얘기를 하는 모습도 보였다.

문 대통령은 "20년 내에 제일 큰 규모의 화재라고 하던데 그 와중에 인명피해가 한 분도 없어서 다행"이라며 "그래도 사람 목숨이 중요하다. 몸만 성하면, 사람만 무사하면 나머지 복구는 정부가 힘을 보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 주민이 "몸만 빠져나왔다"고 하자, 문 대통령은 "얼마나 당황스럽고 상실감이 크겠나. 삶의 터전을 하루 아침에 잃어버렸으니 상실감이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위로했다.

이어 "국민들도 이틀동안 꼬박 텔레비전 앞에서 화재를 보며 안타까워했다. 힘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피해 주민들의 호소도 이어졌다. 한 이재민은 "저는 혼자 사는데 집이 다 타고, 산도 다 타고 기가 막히다. 대책이 없다"며 "저도 죽을 뻔했고 짐승도 다 죽었다. 너무 힘이 들고 억울하다"면서 한숨을 쉬었다.

다른 주민들도 "엉겁결에 나오느라 돈도 다 두고 나왔다", "(원래 거주지에) 아직도 연기가 나고 있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자원봉사를 하던 한 주민은 자신도 피해를 입었다는 점을 밝히며 "저는 매실밭 5천 평이 홀랑 다 탔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대피소 방문을 마친 뒤에는 화재 현장인 울진군 신화2리를 찾아 피해 상황을 살펴봤다.

문 대통령은 최병암 산림청장에게 대응 현황 보고를 받고는 "우선 인명피해 없이 잘 막아준 것에 대해 노고를 치하하고 싶다"며 "오늘 날이 밝을 때 주불을 좀 잡고, 밤 동안 잔불정리에 들어갈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다.

또 울진군에 있는 금강송 군락지를 언급하며 "소중한 곳이니 최대한 방어해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동해시 쪽 상황이 염려가 됐는데 밤중에 잘 막은 것 같다"며 "외곽지역이나 민가가 일부 불이 난 정도인데, 언론에서는 시가지(에 불길이 번진 것처럼) 보도가 돼 실제보다 더 심각한 상황으로 느껴진다. 언론에 알릴 때 정확히 설명을 해달라"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을 만난 신화2리의 이장은 "(대피시킨) 노약자분들이 돌아와서 집이 무너진 것을 보면 너무 큰 상처를 받을 것 같아서 마음의 안정을 찾은 뒤에 모셔오려 한다"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어르신들이 다 무사하셔서 그나마 다행이다. 이걸 언제 다 복구하나 까마득하게 느껴지시겠다"며 신속한 지원을 약속했다.

이어 "빠르게 이 분들이 주택을 복구해 정상적인 삶으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 드려야 한다"며 "임시 주택이라도 근처에 마련해 생업에 종사하며 지낼 수 있도록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이 일대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세부적인 지원사항을 마련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