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쿠리 투표' 파문…與野 표심 여파 촉각 속 공방전 격화

민주, 개선책에 방점·정부책임론에 차단막 Vs 국민의힘 정권심판론 띄우기·부정선거론엔 거리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이틀 앞둔 7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이낙연 총괄선대위원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이틀 앞둔 7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이낙연 총괄선대위원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선을 이틀 앞둔 7일 코로나19 확진자 사전투표 관리 부실의 여파가 핵폭탄급으로 커지면서 대선정국을 흔들고 있다. 여야는 이날 선관위 책임론을 부각하며 이번 사태가 '초박빙 대선'의 막판 표심에 미칠 파괴력에 촉각을 곤두세운 채 사활을 건 공방을 주고 받았다.

여권은 재발 방지책 마련에 방점을 뒀고, 야권은 선관위를 강도 높게 비난하면서도 역풍을 의식해 일각의 부정선거 주장에는 선을 그었다.

이낙연 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은 선대위 회의에서 "사전투표일에 중앙선관위원장은 출근도 안 했다"며 "개선책을 마련하더라도 투표 현장에서 제대로 가동될지 꼼꼼하게 사전 점검하라"고 촉구했다.

고용진 선대위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선관위의 안일한 대처는 그 어떤 질타로도 부족할 지경"이라며 "통렬하게 반성하고 책임져야 한다. 본투표에서 행여 작은 불상사라도 또다시 발생한다면 국민으로부터 용서받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선관위만으로 부족하다면 범정부 차원에서 주도면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은 또 야권의 노정희 선관위원장 사퇴론과 정부책임론에 차단막을 쳤다. 진성준 의원은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야당이 주장하는 정부의 선거관리 책임에 대해선 반박했다. 그는 "정부가 선관위를 지휘하는 게 아니다. 그런 식으로 막 덮어씌우면 안 된다"고 되물었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김기현 원내대표, 권영세 선거대책본부장이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확대선거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김기현 원내대표, 권영세 선거대책본부장이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확대선거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정부의 총체적인 선거관리 문제가 드러났다며 연일 정권심판론으로 연결 짓는 데 총력전을 폈다. 권영세 총괄선대본부장은 확대선거대책본부 회의에서 "단순한 행정부실을 넘어 이 정권이 자유민주주의 기본원칙을 얼마나 가볍게 보는지 여실히 보여주는 증거"라며 "선관위원장은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에게 무죄 선고 내린 대법관 출신이고, 선관위도 여당 계열 일색"이라고 비판했다.

박영미 선대본부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에서 "확진자 사전투표 관리 부실과 무능, 예견된 미필적 고의 아닌가"라며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일이 맞는지, 눈으로 보고도 믿기지 않을 수준이었다"고 몰아붙였다.

이어 "선관위의 부실하고 편파적인 선거 관리는 사실상 예견된 것이나 다름없다"며 "9명 정원인 중앙선관위원이 대선 국면임에도 2명이 공석인 채 7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고, 이 중 무려 6명이 친여 인사다"라고 꼬집었다.

성일종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이렇게 엉터리 선거관리를 해놓고 이 정부가 국민들한테 얼굴을 들 수 있겠느냐"며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대표 등 야권 일각의 부정선거 의혹 제기에는 거리를 뒀다. 현 판세가 윤석열 후보 우세로 판단되는 만큼 부정선거론이 상대를 결집시키는 부메랑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자는 것으로 풀이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