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일만횡단대교 숙원 풀릴까…尹 당선에 경북 재도약 기대감

경북도 제안한 109개 사업 중 37개 반영…추진 탄력
미반영된 지역 현안 추가로 지역발전 동력 확보해야

국민의힘 제20대 대선 정책공약집
국민의힘 제20대 대선 정책공약집

경북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72%대의 압도적 지지를 보낸 것으로 나타난 만큼 '경북 재도약'을 위한 새 정부의 통 큰 관심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크다. 당선의 일등공신 역할을 한 만큼 각종 공약사업의 조기 시행을 요구하는 염원이 뒤따르고 있다.

◆공약에 반영된 경북 사업은?

경북도는 제20대 대선에 앞서 여야 후보 모두에게 7대 분야 35개 프로젝트에 걸친 109개 세부사업을 제안했다. 여기에는 대구경북 특별광역시 설치,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은 물론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미래 먹거리·관광 분야 등 시급한 현안이 총망라됐다.

이 가운데 국민의힘이 제시한 정책공약집에 반영된 사업이 37개가량 된다는 게 경북도의 자체 분석이다. 경북도의 제안과 후보의 공약이 맞닥뜨린 다수 사업이 새 정부의 정책이 돼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는 이유다.

우선 SOC 분야 주요 공약 사업을 살펴보면 지역의 오랜 숙원 사업인 영일만 횡단 고속도로(포항~영덕) 건설 사업이 포함된 게 눈에 띈다. 경북도는 기존 우회국도의 교통량 증가, 지역 관광·산업 분야 경제 활력 등을 위해 영일만을 횡단하는 대교를 포함한 고속도로 건설이 꼭 필요하다고 본다.

그간 지역에 대통령, 국무총리 등 정부 주요 인사가 방문할 때마다 건설을 건의해 왔다. 이번에 공약에 반영된 만큼 새 정부 추진 사업으로 선정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 외 ▷대구경북선 광역철도 ▷김천~신공항~의성 철도 ▷성주~대구 간 고속도로 등 신공항과 연계한 SOC 사업도 공약에 이름을 올려 사업 조기 추진에 파란불이 켜졌다.

각종 미래 먹거리를 위한 전략 사업도 중앙정부 차원의 관심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국민의힘은 안동의 경북바이오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백신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국립안동대에 바이오백신제약과를 계약학과로 신설·운영한다는 비전을 내놓고 있다.

또한 양성자가속기의 규모를 확충하고 가속기를 활용한 차세대 혁신 신약개발 클러스터 조성, 지능형 모빌리티 산업거점 육성 등에도 관심이 쏠린다.

◆인수위 단계부터 다수 현안 반영한다

'농도 경북'을 겨냥한 농업 분야 공약도 다수 눈에 띈다.

▷신재생에너지 기반 스마트 농업 클러스터 구축 ▷신선 농축산식품 항공수출 전문단지 조성 등 농식품 산업 클러스터 구축 ▷경북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조성 ▷축분 소재 산업화·에너지화 등 사업에 힘이 실리게 됐다.

관광 분야에서는 '낙동강 문화관광 르네상스 시대 실현'을 비전으로 ▷낙동강 문화탐방 플랫폼 구축 ▷폐교·폐역사 등 유휴자원 활용 ▷경북 인문역사 자원을 활용한 에코뮤지엄 조성 등이 어떻게 현실화될지 관심이다.

대구와 함께 중점 추진하게 될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 조기 건설도 약속한 만큼 공항을 거점으로 한 각종 연계 산업 밑그림 구상이 정부 정책화될 수 있도록 대구경북 간 공조가 절실하다.

다만 대구경북 특별광역시 설치, 도내 추가 의과대학 설립 등 일부 현안 사업은 공약집에 반영되지 않아 앞으로의 대응 전략이 중요한 실정이다.

경북도는 새 정부의 비전과 정책이 반영된 2023년 국가투자예산 확보 목표를 11조원대로 삼고 있다.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인 10조175억원을 확보한 바 있는데 이를 상향한 것이다.

도는 지난달 24일 내년도 국비 확보 전략 보고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새로운 대통령 당선인이 선정된 만큼 조만간 실국별 추진 현황 점검 회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내년도 국비 건의사업은 4월 말까지 소관 부처로 신청하고 5월 말까지 부처 심사를 거쳐 기획재정부로 제출된다. 오는 5월 10일 대통령 취임일과 맞물려 있는 만큼 조만간 구성될 인수위원회 단계에서부터 지역 공약을 다수 반영시킬 필요가 있다.

경북도는 대선이 끝난 만큼 인수위원과 정당 및 정부인사 등에 반드시 포함돼야 할 지역 현안 과제를 추려 전달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선 이후 차기 대통령 취임까지 2개월간 인수위와 집권 정당을 중심으로 새 정부 국정운영 방향 수립 절차가 숨가쁘게 진행될 것"이라며 "이 시기를 기회로 지역 현안 사업을 국정 과제에 반영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