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SNS 사용자 "'남녀갈등 심각'…지역갈등 개선"

재단법인 대한국인, 이달 3∼6일 1천여명 설문조사…1년여 전과 비교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의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에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대선 결과 발표 직후 당장 실거래가 성사되거나 문의가 폭주하는 것은 아니지만, 서울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 아파트의 호가가 이전보다 높게 형성되거나 시중에 나왔던 매물이 회수되는 분위기다. 사진은 11일 서울 한 아파트 단지 앞에 내걸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메시지. 연합뉴스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의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에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대선 결과 발표 직후 당장 실거래가 성사되거나 문의가 폭주하는 것은 아니지만, 서울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 아파트의 호가가 이전보다 높게 형성되거나 시중에 나왔던 매물이 회수되는 분위기다. 사진은 11일 서울 한 아파트 단지 앞에 내걸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메시지. 연합뉴스

이번 20대 대통령선거 기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용자들은 남녀갈등과 세대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식한 반면, 지역갈등의 심각성은 전보다 덜 느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3일 국가보훈처 산하 재단법인 '대한국인'이 온라인조사 전문업체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이달 3∼6일 SNS 사용자인 전 연령대 남녀 1천69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1년여 전과 비교해 가장 눈에 띄게 높아진 사회갈등 유형은 남녀갈등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대선 기간 SNS 사용자의 인식 변화를 분석한다는 목적으로 이뤄졌다. 20대 대선 직전 나흘간의 설문 결과를 2020년 12월 진행한 같은 내용의 조사 결과(전국 남녀 1천75명 대상)와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갈등 유형별 심각성 인지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는 문항에서 이번 조사 응답자들은 남녀갈등에 평균 3.92점을 줬다. 2020년 조사 당시 3.77점과 비교해 가장 큰 폭으로 높아졌다. 세대 갈등 역시 2020년 3.75점에서 이번에 3.85점으로 높아졌다.

반면 종교갈등의 심각성 인지 정도는 3.60점에서 3.40점으로 눈에 띄게 낮아졌고, 지역갈등도 3.68점에서 3.60점으로 하락했다.

이밖에 이념·빈부·노사갈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조사를 진행한 숙명여대 사회과학대학 조정열 교수는 "전통적 계층 갈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1970년대 대통령 선거 이래로 한국 정치를 흔들었던 지역갈등은 선거 기간인데도 평소보다 줄었다"며 "평소에도 시끄러웠던 남녀갈등은 선거 기간 가장 두드러지게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조사 결과를 SNS 사용 빈도에 따라 고사용자와 저사용자로 나눠 분석했을 때, SNS 고사용자(매일 사용·하루에도 여러 번 사용)는 저사용자(전혀 안 함·주 1회 사용)보다 '우리 사회의 갈등이 심하다'고 인식하면서도 'SNS 소통과 토론이 사회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믿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NS 고사용자는 선거 기간 남녀갈등의 심각성을 4.03점으로 평가해, 저사용자(3.77점)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조 교수는 "선거 기간 SNS상 사회 갈등이 더 커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SNS가 사회갈등을 조장한다는 것은 오해로 드러났다"며 "SNS를 더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사회 갈등을 해결하려는 의지가 강하고 사회 참여에 긍정적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