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산하 지역균형발전 특별위원회가 설치되면서 윤석열 정부의 지방분권 강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6·1 지방선거를 겨냥한 전시용 기관에 머물러선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당선인은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최우선 국정과제 중 하나로 지역균형발전 추진해야 하며, 지역 주도의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새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일단 윤석열 당선인이 인수위 산하에 지역균형발전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대구경북(TK) 출신의 지방분권 전문가인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을 위원장으로 임명한 데 대해선 고무적인 분위기다.
대구 동구 자치분권협의회 의장인 하세헌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후보자 때 지방분권에 대해 큰 관심을 드러내지 않았던 윤석열 당선인이 인수위에서나마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만든 건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결국 대통령의 의지 문제라고 본다. 문재인 정부도 출범 초기엔 지방분권을 얘기했지만 결국 흐지부지됐다"며 "이번엔 인수위 1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지역균형발전을 채택해 현재의 관심과 노력을 정권 마지막까지 이어가야 한다.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지방분권을 거듭 강조해온만큼 어느 때보다 기대가 큰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지역균형발전의 패러다임을 전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기우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지역균형발전정책과 관련해서 차기 정부가 지금까지 해오던 방식을 고수하면 돈만 들어가고 효과는 크게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다. 그래서 접근 방식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고 진단했다.
지금까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절장보단(絶長補短,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에 보탠다) 방식이었다고 분석한 이 교수는 "중앙정부가 여유 있는 곳의 예산을 빼내서 어려운 지방정부를 돕는 방식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밖에 안 된다. 궁극적으로 새롭게 접근해야 한다"며 "각 지역이 특색을 살리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가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방 정부가 계획한 지역발전전략을 국가가 인센티브를 통해 지원하고 그 전략이 성공하면 해당 지역에서 선거를 통해 재승인하는 방식이 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스위스는 지방정부에 권한과 책임을 주는 정책으로 일관했다. 그랬더니 오히려 선순환의 결과를 이룩했다. 우리가 참고해야 할 모델은 자명하지 않느냐"고 덧붙였다.
4차 산업시대 도래에 따라 지역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지역균형발전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형기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명예교수는 "지금은 국책연구기관들이 대전에 밀집해 있지만 앞으로는 권역별로 각 지역이 추구하는 연구개발 기능을 지역대학이 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역의 대학과 기업들이 클러스터를 형성하면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며 "그러면 지역에서 인재도 양성할 수 있다. 그렇게 창출된 인력에 지역에서 창업을 하면 금상첨화"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