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교 전 신속항원키트 검사가 4월에도 계속된다.
교육부는 새 학기부터 학생과 교직원 대상으로 시행 중인 등교 전 신속항원키트 검사를 다음달까지 진행하겠다고 16일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정점이 앞으로 1∼2주간 지속되다 완만하게 감소할 것이라는 방역 당국의 예측 등을 고려해 다음 달 둘째 주(4월 16일)까지는 지금까지처럼 학생은 주 2회, 교직원은 주 1회 검사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다음 달 셋째 주부터는 학생도 교직원과 마찬가지로 주 1회 검사를 원칙으로 하되 지역별 감염병 상황에 따라 시도교육감이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앞서 교육부는 전국 유·초·중·고 학생과 교직원에게 6천50만개의 키트를 무상 배부해 학생은 주 2회, 교직원은 주 1회 등교 전 선제 검사를 받도록 권고하고, 결과를 학생 자가진단앱을 통해 학교와 공유하도록 했다.
등교전 자가진단앱에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증상을 보이거나 키트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고 응답한 학생 등에겐 등교중지를 안내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개학 직후 1주간인 지난 2~7일 학생 394만6천559명과 교직원 42만2천408명의 건강상태 자가진단앱 응답 결과와 질병관리청의 PCR(유전자증폭) 검사 결과를 연계·분석했더니 신속항원검사키트의 양성 예측도는 약 89%였다.
등교 전 키트 검사에서 양성 결과가 나온 18만1천258명 중 16만1천329명이 PCR 검사 결과 확진 판정을 받았다. 교육부는 등교 전 선제 검사가 확진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학교 내 코로나 확산 방지에 큰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한편 교육부는 5∼11세(2010년∼2017년생) 소아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달 말부터 시작됨에 따라 학생 백신접종 이상반응 건강회복 지원 대상에 이들을 새롭게 포함하기로 했다.
만 18세 이하 학생 중 접종 이후 90일 내 중증 이상 반응이 생겼으나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워 국가 보상을 받지 못했을 경우 500만원 한도 내에서 교육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교육급여 대상자(중위소득 50% 이하)는 최대 1천만원까지 의료비를 지원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