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탄소 배출이 현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60년 후에는 봄꽃이 2월에 필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기후 변화로 봄꽃이 봄이 아닌 겨울에 등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17일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봄꽃 3종(개나리·진달래·벚꽃)의 개화일 전망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는 국내 6개 지점 ▷서울 ▷부산 ▷인천 ▷강릉 ▷대구 ▷목포를 대상으로 저탄소·고탄소 배출 시나리오를 각각 적용한 예측이다.
저탄소 시나리오는 온실가스를 대폭 감축해 2070년쯤 탄소 중립에 이르는 것을, 고탄소 시나리오는 현재와 비슷하게 온실가스 배출을 지속한다는 조건으로 가정했다.

기후 변화 시나리오(저탄소·고탄소 시나리오)와 봄꽃 종류(개나리·진달래·벚꽃)에 따라 미래의 봄꽃 개화일은 현재(1991~2020년)보다 대폭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됐다.
시기별로 ▷21세기 전반기(2021~2040년)는 5~7일 ▷중반기(2041~2060년)는 5~13일 ▷후반기(2081~2100년)는 10~27일 당겨질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나리오별로 살펴보면,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봄꽃 개화일은 60년 후 21세기 후반(2081~2100년)에 23~27일 앞당겨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같은 시기에 개화시기가 10~12일 앞당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지역별로도 개화시기가 달라질 전망이다.
품종별로는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60년이 지난 21세기 후반 ▷개나리(23일) ▷진달래(27일) ▷벚꽃(25일)으로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진달래의 경우, 개나리보다 늦게 개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60년 후에는 개나리와 진달래가 동시에 개화하거나 진달래가 더 빨리 필 것으로 예측된다.
지역별로는 대구의 봄꽃 개화일이 가장 앞당겨질 전망이다. 대구에서는 60년 후 벚꽃이 현재보다 30일 앞당겨진 2월27일쯤 개화할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서울(27일) ▷강릉(26일) ▷부산(24일) 순으로 벚꽃이 필 것으로 전망됐다. 개나리의 경우, ▷인천(29일) 진달래는 서울(35일)에서 각각 꽃을 피우는 시기가 가장 빨라질 것으로 기상청은 예측했다.
기상청은 "봄꽃 개화 시기가 당겨지는 것은 우리나라의 봄 시작일이 빨라지고, 봄 절기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과도 일맥상통한다"며 "개화시기 변동은 지역 축제나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