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한민국 권력 1번지' 상징 靑… 이제 역사의 뒤안길로

'경무대'로 시작… 역대 정권마다 "옮기겠다" 이전 추진하다 중단
문 대통령도 '광화문시대' 이전 공약 백지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을 공식화하면서 70년 넘게 권력의 정점 바로 옆에서 그 명멸을 지켜봐 온 청와대도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그동안의 대통령의 권위를 상징하는 건물이었던 청와대를 이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원으로 바꿔 시민들의 품으로 돌려주겠다는 것이 윤 당선인의 구상이다. 사진은 청와대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을 공식화하면서 70년 넘게 권력의 정점 바로 옆에서 그 명멸을 지켜봐 온 청와대도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그동안의 대통령의 권위를 상징하는 건물이었던 청와대를 이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원으로 바꿔 시민들의 품으로 돌려주겠다는 것이 윤 당선인의 구상이다. 사진은 청와대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을 공식화하면서 70년 넘게 대통령의 '권위'를 상징하던 청와대도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현재 청와대 자리는 조선 태조 4년(1395년) 경복궁이 창건되며 궁궐 후원으로 사용되던 곳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총독부는 이곳에 건물을 짓고 총독관사로 이용했다.

1948년 정부가 수립되며 이승만 전 대통령이 '경무대'라는 이름을 붙이고 관저 및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하면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권력 1번지가 됐다.

'푸른 기와 집'이라는 뜻의 청와대(靑瓦臺) 명칭을 가장 먼저 사용한 것은 윤보선 전 대통령이다.

1960년 4·19 혁명 분위기 속에 윤 전 대통령은 경무대라는 명칭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 인식을 고려해 이름을 청와대로 개칭했다.

이후 박정희·최규하·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까지 격동의 70년 동안 최고 권력자가 머무른 만큼 현대사의 중대 사건 때마다 대통령과 청와대는 한복판에 자리해왔다.

1968년 1월 12일 김신조 등 북한 무장대원 31명이 박정희 전 대통령과 정부요인 살해를 목표로 청와대 뒷산으로 침투한 이른바 '1·21 사태'가 대표적이다.

청와대 500m 거리까지 접근한 무장대원들은 초소 검문으로 발각된 뒤 수류탄 투척 등 무력저항을 벌였으나 김신조 1명이 생포되고 28명은 사살, 2명은 도주하며 사건이 마무리됐다.

이들의 북한산 침투로는 '김신조 루트'로 불리며 폐쇄됐으나 지난 2009년 41년 만에 등산로가 개방된 뒤 북한산과 북악산의 출입통제 지역은 점차 개방이 이뤄지고 있다.

1979년 10월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청와대 부지 내 궁정동 안가에서 김재규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쏜 총탄에 맞고 숨지는 '10·26 사태'가 벌어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광우병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가 열리던 2008년 특별회견을 통해 "광화문 일대가 촛불로 밝혀졌던 그 밤에 저는 청와대 뒷산에 올라가 끝없이 이어진 촛불을 바라봤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20일 오후 시민들이 청와대를 보고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청와대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연합뉴스
20일 오후 시민들이 청와대를 보고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청와대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연합뉴스

특히 과거 정권부터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은 정부 교체기 때마다 주요 공약으로 검토돼 왔다.

제왕적 대통령 권한과 권위주의의 상징인 청와대는 국민과의 소통에 한계가 있다는 '구중궁궐 논란'으로 과거에도 거의 예외 없이 청와대 외부에서의 집무 또는 아예 청와대를 이전하는 방안이 거론돼 왔으나 현실화되진 않았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후보 시절 청와대가 아닌 정부서울청사 집무를 공약을 내걸었고, 김대중 전 대통령도 당선 직후 광화문 정부종합청사와 과천 제2정부종합청사에 집무실을 마련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두 대통령 모두 경호와 보안, 비용 등의 문제로 이를 접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청와대 내부 구조를 바꾸려 했으나 중단했고, 작은 청와대를 강조했던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에도 이전 방안을 검토하다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 대선 때 집무실 광화문 이전을 공약한 문재인 대통령은 '광화문 대통령 시대 위원회'를 구성해 검토 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2019년 위원회는 "청와대 영빈관·본관·헬기장 등 집무실 이외 주요기능 대체부지를 광화문 인근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공약 백지화를 공식화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