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새 정부에서 자신이 국무총리로 당분간 유임될 수 있다는 '유임설'에 대해 "협치라는 측면에서 (유임설이) 나왔을 텐데 타깃 자체가 잘못 설정됐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20일(현지시간) 카타르 방문 중 도하의 한 호텔에서 열린 순방기자단 간담회에서 자신의 유임설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총리는 "국민이 기대하는 것은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경쟁할 것은 경쟁하라는 건데 이는 당과 당의 관계에서 풀어나가야 할 일"이라며 "개인이 협치의 상징이 되면 안 된다. 불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전체적인 국면을 정확하게 꿰뚫지 못한 해프닝"이라고 말했다.
'국민통합'을 위해 유임을 거론할 것이라면 언론보도 등이 아닌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간 물밑 협의가 먼저 이뤄졌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앞서 김 총리는 정치권에서 유임설이 거론되고 관련 언론보도가 나오자 총리실 측 입장을 통해 "차기 정부 출범 전 인수인계 작업을 하는 것까지가 총리의 역할"이라며 선을 그었다.
김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측을 조만간 만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귀국 후 가장 먼저 살필 국내 현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인수위측과 만날 것"이라며 "(인수인계가) 스무스하게(부드럽게) 이뤄질 수 있도록 미팅을 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우리가 정리해서 넘겨줄 것은 넘겨줄 것"이라며 "인수위 쪽에서도 들쑤시듯이 얘기하지 않도록 (정부 측에서 노력하겠다). 체계적으로 인수인계가 되도록 협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르면 이번 주 내 안철수 인수위원장과의 만남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무총리가 정권교체기에 차기 대통령의 인수위 측과 공개 만남을 갖는 것 자체가 이례적으로, 김 총리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읽힌다.
김 총리는 윤 당선인의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고민이 있지 않았겠느냐"면서 "새 정부의 상징적인 사안이 돼버려서 당선인으로서는 그렇게 결정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논란은 있지만 그것이 새 정부의 성격을 절대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