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21일 윤석열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을 두고 난타전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윤 당선인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에 비유하며 맹비난을 쏟아냈다.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국민은 하루하루가 불안하고 고통스럽다. 그런데 대통령 당선인이라는 분은 새 집 꾸밀 궁리만 하고 있으니 정말 참담하다"며 "이러니까 미국에서는 한국에 'K-트럼프가 나셨다'는 말이 떠돌고, 항간에는 '레임덕이 아니라 취임덕'에 빠질 것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것 아니냐"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동해와 울진 산불 같은 재해 복구에 쓰여야 할 예비비를 청와대 이전 비용에 쓰겠다는 발상 자체가 반(反)민생적"이라며 "예비비 집행을 위해선 국무회의에서 이를 의결해야 하는데, 인수위는 국무회의 의결을 정부에 강제할 아무런 법적 권한이 없다"고 지적했다.
조응천 비대위원은 "윤석열 당선인에게 진심으로 요청드린다. 임기 첫날부터 국민들에게 보여드려야 할 것은 용산 집무실이 아니라, 국민들께 약속 드린 2차 추경"이라며 "임기를 시작하기도 전에 국민들에게 실망을 주는 대통령 당선인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꼬집었다.
SNS를 통한 여론전도 이어졌다. 안민석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윤 당선인은 취임 전 집무실의 국방부 이전을 결정할 법적 권한이 없다"고 했고, 김민석 의원도 "당선자가 취임 전에 군 통수권자의 승인이 필요한 국방부 이전 행위를 결정하고 사실상 공포하고 강행하는 것이 가능한가"라고 썼다.
국민의힘은 과거 문재인 대통령의 집무실 광화문 이전 공약을 상기시키는 동시에 민주당의 총공세를 '광우병 사태'에 비유하며 맞섰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최고위 회의에서 "민주당은 아직 출범도 하지 않은 새 정권의 발목을 잡는 데 혈안이 될 것이 아니라 문재인 대통령이 지키지 못했던 '광화문 대통령' 약속을 이제라도 지킬 수 있도록 협조해야 마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에게 돌려드리겠다던 청와대에 문 대통령의 자녀가 거주하면서 '아빠 찬스'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공약 파기에 대한 제대로 된 사과 역시 없었다"며 "이전 비용이 1조 원 이상이 소요된다거나 헬기장을 미군이 통제한다는 등의 가짜뉴스를 퍼트리는 것은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익을 해치는 행태"라고 쏘아붙였다.
인수위에서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 팀장을 맡은 윤한홍 의원은 CBS 라디오에 나와 "500억원도 안 되는 이전 사업을 1조원이 든다고 하는데 광우병 (시위가) 생각나기도 하고, (민주당이) 왜 이러는지 모르겠다"고 반박했다.
이날 대구시장 출마를 선언한 김재원 최고위원은 MBC 라디오에서 이전 비용 논란에 대해 "현 예비비를 편성해 지출하게 해주는 것은 현직 대통령의 권한이 분명하다"면서도 "인수위 권한이 아니라고 할 수 있지만, 문재인 대통령께서 집행해주시면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이라며 협조를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