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만남이 이르면 다음주 초 전격 성사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 임기 말 인사권 행사 문제 중 하나인 '감사위원 임명건'이 해소되면서 교착 상태에 빠졌던 실무 협의가 급물살을 탈 조건이 마련됐다는 분석이다.
감사원은 지난 25일 인수위 업무보고에서 "정치적 중립성과 관련된 논란이나 의심이 있을 수 있는 상황에서 제청권을 행사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최재해 감사원장이 새 감사위원 제청을 사실상 거부함에 따라 문 대통령의 임명 강행도 불가능해지게 된 셈이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 간 소통 채널도 물밑에서 다시 가동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수석은 최근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누면 문제가 잘 해결될 것이라는 의사를 장 실장에게 전달했으며, 장 실장도 열린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측은 회동 성사 여부는 윤 당선인 측에 달렸다는 입장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24일 "당선인이 대통령을 예방하는 데 협상과 조건이 필요했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며 조건 없는 열린 대화를 강조한 바 있다.
윤 당선인 측 역시 문 대통령과의 갈등이 길어지는 게 득이 될 게 없다고 판단한다면, 전제 조건 없이 일단 만나자는 청와대의 요구를 전격 수용할 여지도 있다.
이에 따라 양측이 주말 중에 긴밀히 연락을 주고받으며 회동 일정을 조율한다면 당장 다음주 월요일(28일)에라도 회동이 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일요일인 27일까지 만나지 못할 경우 신·구 권력 회동 지연 기간으로 '역대 최장' 기록을 세우게 된다.
현재까지는 1992년 노태우 당시 대통령과 김영삼 당시 당선인이 대선 후 18일 만에 만난 것이 가장 늦은 대면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