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가계부채 ‘빨간불’…“이자부담 늘어 소비위축 우려”

GRDP 중 가계대출 비중 대구 급증세, 기준금리 상승 시 주담대 이자부담 ↑

대구경북의 가계부채 급증이 소비에까지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이하 대경연)은 최근 발표한 대경CEO브리핑을 통해 "지역 가계부채 증가로 소비위축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대경연에 따르면 대구경북 가계대출이 GRDP(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67.1%, 32.6%였으나, 2020년에는 103.1%, 61.8%로 급증했다. 대구는 전국 평균보다 높고 경북은 평균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매년 증가 추세다.

지난해 4분기 대구의 예금은행 대출금 잔액 중 가계대출은 38조4천746억원이다. 이중 주택담보대출이 27조6천697억원으로 71.9%를 차지하고 있다. 그간 대구의 주택가격 상승 폭이 커 주택담보대출의 비중이 높다. 경북은 55.2% 수준이다.

문제는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 증가로 가계부채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대출금리도 동반 상승해 주담대 비중이 매우 높은 대구는 타격이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가 0.25%p 증가하면 대구경북의 가계대출 주담대 이자부담액은 99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구당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연간 주담대 이자는 4만7천552원이었다.

특히 고정비용 성격이 강한 주담대 부담이 가중되면서 가처분소득이 감소해 소비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라 대구경북의 소비심리 회복세는 지연되고 있다. 가계대출 상환 부담금이 증가하면 소비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지역경제 회복도 느려질 것이란 우려다.

이에 대해 대경연은 "단기간 금리인상이 계속되면 방어력이 취약한 저소득층의 연체율 증가는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주담대 비중이 높은 대구에 맞는 맞춤형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