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 노른자땅에 자리잡은 육군 제5군수지원사령부(이하 5군지사) 이전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화두로 떠오를 전망이다.
5군지사이전추진위원회(이하 이전추진위)는 28일 내달 1일부터 5군지사 이전 서명운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수성구청은 5군지사 이전을 전제로 이전터에 UAM(도심형항공교통) 기반시설을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1971년 수성구 가천동 786번지 일대에 들어선 5군지사는 58만8천135㎡(약 17만8천평) 규모다. 속칭 '고산권'으로 불리는 주변 지역 개발이 가속화하면서 군부대 이전을 요구하는 주민 목소리가 커졌다.
5군지사뿐 아니라 육군 2작전사령부, 공군 방공포병학교 등을 포함한 약 247만5천㎡의 수성구 일대 군부대 이전 공약은 6년 전 총선 및 지방선거 공약에서 처음 등장했다.
2016년 20대 국회의원 선거과정에서 김부겸, 김문수 등 양당 후보에게 고산권 주민들이 5군지사를 포함한 군부대 이전을 건의했고, 2018년 지방선거에서도 구청장 후보 공약사항이었다.
특히 올해 대선에서는 5군지사 이전이 윤석열 당선자의 기초지자체 맞춤형 공약으로 등장해 수성구 곳곳에 현수막이 걸렸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시·군·구 맞춤형 공약 중 하나였지만 대선후보의 공약사항으로 언급된 만큼 지역 주민들과 정치권의 관심을 상당히 환기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본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5군지사 이전 논의가 불붙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대구시는 5군지사 이전과 관련해 아직까지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현재 추진 중인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 캠프워커 부지 일부 반환 등 현안 해결이 급선무로, 사업이 추가될 경우 예산 규모와 협의당사자가 늘어나 지자체 차원에서는 큰 부담이라는 것이다.
이전추진위는 시민들의 관심을 바탕으로 대구시의 움직임을 촉구하겠다는 복안이다. 이전추진위는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의 관심을 촉구하는 차원에서 내달 1일부터 고산권 주민들을 중심으로 5군지사 이전을 요청하는 본격적인 서명운동에 돌입할 방침이다.
황선우 5군지사 이전추진위원장은 "수성구 고산권의 '노른자' 위치에 5군지사가 있어 지리적인 단절 현상을 가져오고 있다. 비전투 지원부대인 5군지사가 반드시 현재 자리를 지켜야 할 필요성도 크지 않다. 시민들의 뜻을 모으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李대통령 "재정 적극적 역할 필요…씨앗 빌려서라도 농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