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푸틴 축출' 발언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권좌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발언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논란을 더 키우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폴란드를 방문한 바이든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 대해 "단언컨대, 권좌에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푸틴의 퇴진을 연상케하는 발언으로 유럽 국가와 미 정치권의 비판이 쏟아졌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언론 인터뷰에서 바이든 대통령 발언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자 "나는 이런 말을 쓰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짐 리쉬 공화당 상원의원도 바이든 대통령 연설은 훌륭했다고 하면서도 푸틴 퇴진 관련 언급은 "끔찍한 실수"라고 평가했다.
백악관은 수습에 나섰다. 백악관은 "(그 발언은) 푸틴 대통령이 인접국에 권력을 행사할 수 없다는 뜻이지 러시아 정권 교체를 말한 게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도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어느 곳에서든 전쟁을 하거나 침략할 권한이 없다는 게 바이든 대통령 발언의 요지"라며 "정권 교체를 논한 것이 아니다"라고 거들었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논란에 또다시 불을 지폈다.
28일 워싱터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나온 '일부 동맹국들에게 비판을 받게 된 발언을 한 것을 후회하느냐'는 질문에 "후회하지 않는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푸틴의 잔인함에 대해 내가 느낀 도덕적인 분노(moral outrage)를 표출한 것"이라고 답했다. 또 해당 발언에 대해 "사과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에 외교적 언어를 신중하게 표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제라드 베이커 전 월스트리트저널(WSJ) 편집장은 "바이든 대통령의 무모한 발언은 민감한 외교 인프라를 망가뜨리고 있다"며 "서방국들의 외교력을 손상시키는 동시에 동맹국 간에도 오해를 살 여지를 준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