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곡물값 치솟는데 쌀 가격은 왜 내려갈까

작년 전국 쌀 생산량 388만t…1년 새 10.7% 큰폭 증가 영향
평년 기온 회복 기저효과도…"정부 추가 매입 가격 조절을"

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 5일 찾은 대구의 한 대형마트에서는 쌀 20kg를 4만9천900원에 팔고 있었다. 마트 측은 지난 2020년 12월 초엔 6만7천900원에 팔았다고 했다. 1년 4개월 새 25.8%(1만8천원) 내린 것이다. 반면 A사 밀가루(1kg) 가격은 1천950원으로 같은 기간 40.3%(560원) 올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밀 등 곡물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지만 쌀 가격은 내리고 있다.

수요 대비 시중에 풀린 쌀이 많아서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중 4번째로 쌀 생산량이 많은 경북은 지난해 51만8천t의 쌀을 생산했는데, 지난 2020년 생산량(49만5천t) 대비 4.6% 오른 수치다. 지난해 경북 내 쌀 재배면적은 9만6천ha로 전년보다 1만5천ha 더 줄었는데, 생산량은 더 늘어난 것이다. 전국으로 보면 쌀 생산 증가 폭은 더 큰데, 작년 전국 쌀 생산량은 388만2천t으로 전년(350만7천t) 대비 10.7% 증가했다.

식생활의 서구화 등 영향으로 쌀 생산량은 2015년부터 5년간 줄곧 감소세였다. 특히 2020년엔 흉작으로 생산량이 급감했다.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에 많은 비가 내리고 일조시간이 짧아지면서 쌀 생산량은 350만7천t까지 떨어졌다. 당시 공급이 크게 줄면서 2020년 12월 쌀 20kg 소매 가격은 전년 같은 달(5만2천350원)보다 8천103원 오른 6만453원을 나타냈다.

지난해 쌀 생산량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우선 평균기온·강수량 등 기상여건이 평년과 비슷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있다. 또 쌀 가격이 상승하면서 그간 논에 벼를 심지 않던 농민들도 심기 시작했다. 농가의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해 2018년부터 논에 벼가 아닌 다른 작물을 재배하면 지원금을 주는 사업이 2020년에 종료된 점도 쌀 생산량이 늘어난 이유다.

작년 벼 농가는 20년 만의 최대 순수익을 기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의 10a당 논벼 순수익(총수입-생산비)은 전년 대비 13.4% 오른 50만2천원이었다. 2001년(51만2천원)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농업기술 고도화 등으로 인한 인건비 감소로 쌀 생산비용은 전년보다 줄어 이윤은 더 늘어났다"고 말했다.

다만 올해 쌀 가격이 공급 과잉으로 내림세를 보이자 일부 농가에서는 정부가 추가 매입 등으로 가격 조절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과잉생산된 쌀 27만t 중 20만t만 매입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