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난해 자동차 판매량 줄었는데 신차 판매가 역대 최고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의 '2021년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

자동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동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해 국내 평균 신차의 판매 가격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출고 지연 등 여파로 지난해 국내 자동차 판매량이 최근 5년 내 가장 적은 것과는 대비된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6일 발표한 '2021년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9.0% 감소한 173만5천대였다. 최근 5년 평균 판매량(182만2천대)의 90% 수준에 그쳤다. 세제 감면과 '보복 소비'로 자동차 판매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재작년의 기저효과에 더해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출고 지연 등이 판매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자동차 총 내수판매액은 오히려 늘었다. 신차 평균 판매가격이 올랐다는 얘기다. 지난해 자동차 내수판매액은 총 76조6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특히 신차의 평균 판매가격은 4천420만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4천만원을 넘어섰다.

이는 수입차와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전기동력차 등 고가 차량의 판매 호조가 지속되면서 금액 기준 시장규모가 2018∼2021년 3년간 연평균 6.7%씩 성장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입차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2.3% 증가한 30만9천591대로 2년 연속 30만대를 넘어섰다. 수입차의 금액 기준 시장점유율은 32%로,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벤틀리·롤스로이스·람보르기니 등 초고가 수입차 브랜드의 판매 대수는 전년(1천234대) 대비 25% 증가한 1천542대로, 역대 최다였다. 이 중 85%는 법인·사업자가 구매한 차량으로 집계됐다.

법인·사업자의 구매 차량을 살펴보면 국산차는 4.0% 감소한 반면 수입차는 5.6% 늘었다. 공유차·장기 렌트 등 사업용으로 구매한 차량 대수는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수입차 브랜드별로는 독일과 미국계 브랜드 판매 대수가 전년 대비 각각 2.6%, 6.4% 늘며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원산지별로는 BMW iX3 등 중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급 모델이 늘면서 중국산 차량 판매 대수가 전년 대비 38.1%나 증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