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정부 최우선 과제 '민생안정'…경제부총리에 추경호 확정적

경제팀 라인업은 사실상 확정, 추경호(부총리)-최상목(금융위원장)-김소영(경제수석)

5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경제부총리에 거론되고 있는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이 동료 의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5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경제부총리에 거론되고 있는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이 동료 의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민생안정대책이 될 전망이다. 이를 위한 새 정부 경제팀 라인업도 사실상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6일 물가 동향을 보고 받은 뒤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물가를 포함한 민생안정 대책을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라"고 지시했다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원일희 수석부대변인이 전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에서 인수위 기획조정분과 추경호 간사, 경제1분과 최상목 간사, 경제2분과 이창양 간사로부터 3월 소비자물가가 10년 만에 4%를 웃돈 원인과 배경, 향후 국민에 미칠 파급효과 등에 대해 보고 받았다.

인수위 경제 관련 분과 간사들은 "올 상반기뿐 아니라 하반기에도 각종 경기 지표와 물가 전망이 어둡다"며 "코로나19 위기로 돈이 많이 풀렸는데 전 세계적으로 위기가 끝나가는 과정에서 경기가 살아나려 해 물가가 오르는 측면이 있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더해져 공급망 문제로 비용 측면의 물가상승 압박이 강하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 수석부대변인은 "윤 당선인은 '새 정부가 해야 할 일인 물가와 민생안정 대책을 해당 분과에서 최우선과제로 준비를 잘해달라'는 얘기를 했다"며 "서민물가 문제가 있기에 전기요금, 가스요금, 통행료 부분을 꽉 눌러 놓은 것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종합적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민생안정을 새 정부 최우선 과제로 삼고 해결해나갈 경제팀 라인업도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윤석열 정부 첫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엔 정통 경제관료 출신이자 대구 달성군을 지역구로 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부총리와 호흡을 맞춰 금융 정책을 이끌어갈 금융위원장에는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이,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당선인은 이번 주 내에 새 정부 경제팀 인선을 마무리하고 발표하겠다는 의중을 밝힌 바 있어 이르면 8일, 늦어도 10일엔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 정부 초대 경제부총리에 내정된 추 의원은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기재부 1차관, 국무조정실장(장관급)을 역임한 뒤 대구 달성군을 지역구로 여의도로 진출했다. 20·21대 재선 국회의원으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활동했고, 지난 대선 과정에선 원내수석부대표를 맡아 당의 내분을 정리하는데 공을 세우기도 하는 등 행정·입법부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아왔다.

대선 후에는 인수위에 입성, 7개 분과 중 가장 핵심인 기획조정분과의 간사를 맡아 새 정부 국정과제 전반을 챙기고 있다.

금융위원장 1순위로 꼽히는 최 전 차관은 기재부에서 엘리트 코스를 밟아온 정통 경제관료 출신이고, 박근혜 정부를 끝으로 공직을 떠난 뒤에는 농협대 총장으로 재직해왔다. 현재 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를 맡고 있다.

추 의원(행시 25회)과 최 전 차관(행시 29회)은 과거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에서 함께 일한 선후배 사이기도 하다. 이 둘은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와도 일한 경험이 있는데, 2005년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 시절 추 의원은 재경부 금융정책과장, 최 전 차관은 재경부 증권제도과장이었다.

현재 인수위 경제1분과 인수위원인 김 교수는 윤 당선인의 대선 캠프 시절부터 경제공약 전반에 관여해왔고, 현재 유력한 대통령실 경제수석으로 거론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