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보험료 수입이 지난해 20조원을 넘어섰다.
자동차보험 손익은 보험료 수입 증가와 사고 감소로 4년 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보험의 원수보험료(보험료수입) 기준 시장 규모는 20조2천774억원으로 전년 대비 3.7% 성장했다.
전체 손해보험 중 자동차보험 원수보험료 비중은 19.7%로 장기보험(59.5%)보다 작고, 일반보험(11.2%)과 퇴직연금(9.6%)보다 크다.
작년 발생손해액을 연간 보험료 수입으로 나눈 손해율은 81.5%로 나타났다. 발생손해액과 사업비 합산액을 보험료 수입으로 나눈 합산비율은 97.8%였다. 손해율과 합산비율은 전년 대비 각각 4.2%포인트와 4.4%포인트 하락했다.
2020년 보험료 인상(3.4%)의 효과가 반영되고 지난해 코로나19로 사고가 감소한 결과다.
이에 따라 지난해 자동차보험 영업손익은 4년 만에 흑자로 전환해 3천981억원 흑자를 봤다. 2020년의 3천799억원 적자에서 약 7천800억원이 개선된 셈이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등 4대 손해보험사의 시장점유율은 84.7%를 유지했다. AXA손해보험, 하나손해보험, 캐롯손해보험 등 온라인 판매사의 점유율은 2020년 5.3%에서 5.9%로 확대됐다.
삼성화재는 원수보험료 수입 기준 점유율이 29.1%로 1위를 유지했으나, 영업손익은 DB손해보험(2천143억원 흑자)에 밀렸다. DB손해보험의 손해율(79.5%)이 삼성화재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보험사의 손해율은 메리츠화재가 77.5%로 가장 낮았다.
보험료를 후불제로 운영하는 캐롯손해보험은 손해율이 104.9%로 가장 높았고 MG손해보험이 100.6%로 뒤를 이었다.
자동차보험 전체적으로 흑자를 달성했지만 12개 취급 보험사 중 캐롯손해보험, 메리츠화재, 하나손해보험 등 6개사는 손실을 봤다.
인터넷 마케팅 채널인 '다이렉트'의 자동차보험 점유율은 25.3%에서 28.8%로 확대됐다. 오프라인 채널 점유율은 56.7%에서 54.2%로, 전화영업(TM) 채널 점유율은 18.0%에서 17.0%로 각각 하락했다.
금감원은 "올해 1분기까지 손해율이 77.7%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 후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내년부터 경상 환자 보상에 과실 비율을 반영해 보험금 누수를 막고 보험사의 손해율 등 실적에 부합하는 보험료 조정으로 국민의 자동차보험료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감독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