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가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완화에도 불구하고 돌봄 부담이 여전히 여성에게 몰리고 있다는 내용의 조사 결과를 내놨다. 20대 중 한국 사회가 여성들에게 불평등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여성 73%, 남성 29%로 격차가 크다는 내용도 담겼다.
여성가족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양성평등 실태조사는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라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 등 중장기 정책 수립을 위해 5년마다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9∼10월 전국 4천490가구의 만 15세 이상 모든 가구원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응답자는 총 8천358명이다.
조사 결과 '가족의 생계는 주로 남성이 책임져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2016년 42.1%에서 지난해 29.9%로 낮아졌다.
'직장생활을 하더라도 자녀에 대한 주된 책임은 여성에게 있다'는 인식도 같은 기간 53.8%에서 17.4%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성평등한 인식을 하고 있었다.
'가족의 생계는 주로 남성이 책임져야 한다'에 대한 동의 비율은 60세 이상에서는 남성 47.5%·여성 40.0%이었지만, 20대에서는 남성 17.5%·여성 9.6%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 밑에서 일하는 것은 불편하다'에 동의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60세 이상에서는 남성 44.6%·여성 46.4%였으나 20대에서는 남성 9.0% 여성 4.4%였다.
이와 관련해 여성부는 기성세대가 갖고 있던 성 고정관념이 청년층에서 완화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 사회가 전반적으로 남녀에게 불평등한지를 묻는 항목에 여성의 65.4%, 남성의 41.4%가 '여성에게 불평등하다'고 답했다. 또 여성의 6.7%, 남성의 17.0%는 '남성에게 불평등하다'고 답했다. '남녀 평등하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2016년 21.0%에서 지난해 34.7%로 증가했다.
'남성에게 불평등하다'는 인식은 20대 남성(24.0%)에서 가장 높았다. 다만 20대 남성 중 이런 답변을 한 비율은 5년 전보다 11.4%포인트 낮아졌다.
또 '여성에게 불평등하다'는 데 대한 20대 여성의 동의 비율은 5년 전보다 8.5%포인트 낮아졌다.
최문선 여가부 여성정책과장은 "최근의 경제적 어려움, 취업이나 주택 마련의 어려움이 남성에게만 요구되는 사회적 역할과 복합적으로 작용을 해서 성평등 문제를 조금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며 "청년들이 느끼는 주거·일자리 안정 관련한 애로사항에 대해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분석했다.
부부간 가사·돌봄 분담과 관련해 전체 응답자의 68.9%가 '전적으로 또는 주로 아내가 한다'고 답했다.
맞벌이의 경우에도 10명 중 6명 이상(여성 65.5%·남성 59.1%)이 이런 답변을 했다. 20대(여성 45.3%·남성 40.6%)와 30대(여성 32.2%·남성 36.7%)에서는 가사와 돌봄을 부부가 반씩 나눠서 한다는 응답자 비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자녀에 대한 돌봄의 일차적 책임이 여성에게 있다'는 문항에 대한 동의 비율은 2016년 53.8%에서 지난해 17.4%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돌봄 부담은 여전히 여성에게 과중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이런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여가부는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