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선 앞두고 대구 민주당 '자중지란'…시의원 비례대표 '공천 내홍'

광역의원 한 자리 유일 당선권…낙천자들 재심 청구·내부 총질
수성구의원 역시 비슷한 논란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대구시의원 공천에서 컷오프된 김지연 북구의원 등이 지난 24일 민주당 대구시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심을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 제공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대구시의원 공천에서 컷오프된 김지연 북구의원 등이 지난 24일 민주당 대구시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심을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 제공

대구 더불어민주당이 '역대 최약체'로 지방선거를 치를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나올 정도로 '인재풀' 바닥을 드러냈지만 유일한 당선권으로 꼽히는 비례대표 대구시의원 한 자리를 두고는 자중지란을 벌이는 탓에 지지층만 속 탈 지경이다.

민주당 대구시당 공천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앞서 대구의 공천 성적표는 지극히 실망스럽다. 불과 4년 전 지방선거 때만 해도 달성군을 제외한 7곳에서 모두 기초단체장 후보를 냈었던 점을 생각하면 너무나도 대조적이다.

하지만 비례대표 광역의원 한 자리를 두고는 낙천자들이 중앙당에 재심을 청구하는 한편 내부 총질이 한창이다.

앞서 민주당 대구시당 비례대표 공천관리위원회가 면접 평가를 진행하고서 후보자 6명 중 3명을 압축했다. 이 과정에서 김지연 북구의원과 차우미 전 대구여성의전화 대표, 소프라노 마혜선 씨 등 컷오프된 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중앙당 공천심사 기준에 있는 '공개 오디션'이 생략됐고, 비례공관위 위원 명단도 발표하지 않는 등 밀실에서 공천 심사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비슷한 논란이 기초의원 비례대표 신청에서도 불거졌다. 비례대표 수성구의원에 공천을 신청하려던 한 후보가 '대선 기여도' 관련 서류에 김대진 대구시당위원장이 서명해주기로 했지만, 전화를 받지 않는 등 자신을 피하면서 결국 면접을 보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나서면서다.

해당 후보는 "비례대표 후보가 될 수 없다면 신청도 하지 말라고 해야 하지만 비용까지 받아놓고 면접도 보지 못하게 한 건 정치신인의 기회를 박탈한 것"이라며 "이런 식의 절차적 민주성이 결여된 후보 배제는 앞으로 없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모습에 대구의 한 민주당 인사는 "대구 민주당이 '라인업' 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선거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당선권에 들어가는 자리를 두고는 뒷말이 나오니 지역민이 민주당에 마음을 더 닫을까 걱정"이라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