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혐오발언·망언' 김성회 자진사퇴…尹 참모 첫 낙마

김성회 비서관
김성회 비서관

김성회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이 13일 자진 사퇴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실 비서관급 첫 낙마 사례다. 동성애 및 위안부 피해자를 비하하는 듯한 글 등으로 논란을 빚어서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이날 공지를 통해 "김 비서관이 대통령에게 누가 되지 않기 위해 자진 사퇴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김 비서관은 과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동성애는 정신병의 일종'이라거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보상 요구를 '밀린 화대'라고 표현한 글을 게재했다. 이러한 글이 논란에 휩싸이자 직접 진화에 나섰지만 불을 더욱 키우기만 했다.

김 비서관은 10일 SNS에 과거 일본군 '위안부' 피해 배상금 관련 표현에 대해 "개인 간 언쟁을 하다 일어난 일이지만 사과드린다"고 썼지만, 같은 글에서 '동성애는 정신병'이라는 발언에 대해 '치료 가능한 질병'이라는 입장은 굽히지 않았다.

전날에는 그가 지난해 3월 인터넷 매체 기고문에서 "조선시대 절반의 여성이 성노리개"라고 쓴 게 문제가 되자 "여성 인구 절반이 언제든 주인인 양반들의 성적 쾌락의 대상이었다. 그런 부끄러운 역사를 반성하자는 것이 잘못된 것인가"라고 해 빈축을 샀다.

'중도입국자녀가 전체의 4%에 불과하다'는 발언도 논란에 휩싸이자 "학계 논문에 기재돼 있다"고 반박했지만, 거짓 해명으로 드러났다.

이 때문에 김 비서관은 야권으로부터 '폭탄·혐오발언 제조기'라는 비판을 받았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말한 당사자의 정신 상태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이상민 의원도 "저 정도면 징계 사안이다. 윤 대통령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배진교 정의당 의원도 "김 비서관의 발언에 분노를 넘어 참담함을 느낀다"며 "윤 대통령이 그 발언에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면 즉각 해임 조치하라"고 질타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도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도 "(김 비서관의 표현은) 인간 자격의 문제"라며 "독일이었으면 사회적으로 매장될 일"이라고 꼬집는 한편 "이런 사람은 공직을 맡지 못하게 해야지 이를 '지켜보겠다'고 한 대통령 비서실은 제정신이냐"고 따져 물었다.

여당인 김용태 국민의힘 청년 최고위원조차 "이번 인사가 과연 국민의 상식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보면 적절하지 않다"고 혹평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