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선거 참패로 벼랑 끝에 몰린 거대 야당이 사태 수습에 나서기는커녕 내부 권력투쟁에 골몰하면서 총체적 위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우선 '혁신 비상대책위원회'(혁신비대위)를 금주 중 구성해 지난 3월 대통령선거와 지난 1일 지방선거 패배에 따른 위기를 수습하고 당의 지도체제를 정비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당내 주요 계파가 선거패배에 대한 책임론을 두고 첨예하게 충돌하고 있고 향후 전당대회 규칙을 두고도 반목하고 있어 비대위 구성 단계부터 극심한 진통을 겪고 있다.
특히 차기 당권을 잡는 진영이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선거 공천권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계파 간 갈등 봉합이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지난 3일 국회의원-당무위원 연석회의를 열어 다음 비대위를 '혁신형 비대위'로 꾸리기로 뜻을 모았다.
민주당은 당의 지도체제 공백사태가 길어질 경우 윤석열 정부 임기 초 대여 협상력에 타격을 입는 것은 물론 지지층 이탈이 빨라질 수 있어 늦어도 이번주 안에는 비대위 구성 문제를 매듭짓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당내 계파 간 진검승부로 펼쳐질 전당대회 규칙을 두고 내부에서 이견이 표출되고 있어 당내 갈등 수습은 요원한 실정이다.
이재명 의원 측은 8월 전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이 의원이 당 대표에 도전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비대위의 역할은 다음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것으로 제한하고 서둘러 다음 지도부를 구성하는 것이 주요 임무가 된다.
'처럼회'를 비롯한 당내 강경파 의원들도 이 같은 목소리에 힘을 싣는 양상이다. 정청래 의원은 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요구했다.
정 의원은 "조기전대를 하려면 전당대회 룰을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해야 한다"며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중을 높이는 방안을 거론했고, 이에 김용민 의원도 "새 전당대회에서는 반드시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투표비율을 조정해야 한다"고 호응했다.
이에 이낙연계를 포함한 범친문계에서는 조기 전당대회 개최 주장이 이재명 의원계의 당권 장악을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며 맞서고 있다. 이른바 '이재명 책임론'으로 대표되는 패인 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고서 서둘러 새 당대표에 나서려는 생각이 담겨 있다는 반박이다.
한편 혁신비대위원장을 누가 맡느냐를 두고선 문희상 전 국회의장이나 유인태 전 의원을 비롯한 원로그룹, 강원지사 선거에서 낙선한 이광재 전 의원과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이 일단 후보군에 오르내리고 있지만, 아직 공식 논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거론된 인사들 중 누가 비대위를 맡더라도 계파 간 득실에 따라 반발이 터져나올 수밖에 없어 비대위도 쉽사리 닻을 올리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