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폐경주역은 행정복합타운, 폐철부지는 휴식공간 등 선호"

경주시민 폐역·폐철도부지 활용 설문조사 결과

경주시민들이 설문조사 결과 폐경주역 부지에
경주시민들이 설문조사 결과 폐경주역 부지에 '행정복합타운 조성'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천억원대 이전 비용 때문에 오랜 세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경주시 제공

경주시민들이 폐역된 경주역 부지는 '행정복합타운'을, 폐철부지는 '관광자원과 시민휴식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시가 지난 4월 18일부터 4주간 시민 3천151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85.7%가 '폐철도 활용 사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응답자 63.7%가 경주역 부지에 시청사 이전을 원했고 응답자 65.3%가 동천~황성 2.5㎞ 구간 폐철도 부지는 '도시숲 조성사업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경주역 부지로 시청사를 이전할 경우 코레일 부지 매입비와 문화재 발굴비용, 시청사 건립 비용으로 수천억원대 예산이 필요하다.

경주시는 아직 예산 확보를 하지 못해 오랜 세월이 걸릴 전망이다.

응답자 24.3%는 '동해남부선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자'고 했고 20.5%가 '중앙선은 공원 및 주민휴식공간으로 개발하자'고 응답했다. 반면 '폐철도 부지를 교통시설로 활용하자'는 의견은 동해남부선 8.6%, 중앙선 11.7%에 그쳤다.

주요 폐역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서경주역은 공원 및 주민휴식공간(18.9%) △불국사역은 관광자원(14.5%) ▷입실역은 공원 및 주민휴식공간(18.2%)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났다.

또한 ▷모화역 ▷건천역 ▷아화역 ▷동방역 등도 '공원 및 주민휴식공간으로 만들자'는 의견이 많이 나왔다.

지역시민단체인 시민총회 심정보 위원장은 "폐철도 개발의 핵심인 폐경주역사 부지 행정타운 조성은 예산 문제로 20년이 지나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경주 일원 복선전철 개통으로 경주역을 포함한 17개 역이 기능을 상실했다. 축구장 52개와 맞먹는 37만㎡ 폐역부지와 중앙선 27.1㎞, 동해남부선 53.2㎞가 폐선부지가 유휴부지로 남게 됐다.

시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폐철도 예정부지 도시관리계획(정비) 및 개발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