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통령실, 尹 '자택 지시' 논란에 "현장 대처역량 떨어뜨릴까봐…"

윤석열 대통령이 9일 발달장애인 가족이 폭우로 인한 침수로 고립돼 사망한 서울 관악구 신림동 침수 한 다세대주택을 방문한 뒤 다른 피해 현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9일 발달장애인 가족이 폭우로 인한 침수로 고립돼 사망한 서울 관악구 신림동 침수 한 다세대주택을 방문한 뒤 다른 피해 현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서초동 자택에서 폭우 피해 상황을 보고 받고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는 야당의 지적과 관련, 대통령실은 "대통령이 현장이나 상황실로 이동하면 오히려 대처 역량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9일 오전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어젯밤 9시부터 오늘 새벽 3시까지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으로부터 전화로 실시간 보고 받고 지시를 내렸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의 서초동 사저 주변에 침수가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대통령이 현장에 나와야 하다고 생각하면 나오지 못할 이유가 없었다. 이미 한 총리가 진두지휘를 하고 있었고 대처 역량을 약화시켜서는 안 된다는 판단 때문에 가지 않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있는 곳이 곧 상황실"이라며 "전화 지시나 대면 지시는 차이가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윤 대통령이 전날 비 피해 상황을 집에서 전화로 대응한 것을 두고 비난을 쏟아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이런 긴급 상황을 우려해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 집무실이 가깝게 있어야 한다 말씀드렸던 것"이라며 "총리가 아니라 대통령이 직접 지하 벙커에 있는 위기관리센터를 찾아 전반적인 상황을 보고받고 체크해 진두지휘를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인 강훈식 의원도 "청와대를 용산 집무실로 옮길 때 국가안보에 전혀 문제없다고 자신했던 것이 불과 3개월 전인데, 재난의 총책임자인 대통령이 비가 와서 출근을 못했다"고 했다.

한준호 의원은 "큰 비 피해가 우려되면 퇴근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 폭우에 출근도 못하는 대통령에게 국민의 삶을 어떻게 맡길 수 있을지 너무 한심하다"고 지적했고, 전 정부에서 초대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을 역임한 윤영찬 의원도 "청와대를 굳이 버리고 엄청난 세금을 들여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기더니 기록적인 수해 상황에서도 전화로 업무를 본다. 전 정부 탓을 하더니 능력·수준 차이가 너무 심각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