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준석 전 대표가 제기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의 법원 판단이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과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관계자)을 향한 이 전 대표의 공격이 연일 불을 뿜고 있다.
이 전 대표는 24일에도 여권 핵심을 12·12 군사쿠데타를 주도한 '신군부'에 비유하며 원색적인 비난을 이어갔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후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 출연해 "아직까지 문자를 주고받던 분들이 내부총질이나 체리 따봉에 대해 아무런 입장표명을 하지 않은 채 한 달 가까이 지나가고 있는데 이 자체가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며 "이런 일이 반복되면 그게 신군부"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이 전 대표는 "자기들끼리 제 뒷담화를 하다가 카메라에 노출돼 기사화가 되고 그것 때문에 국민 실망이 커진 상황이라면 그 상황을 일으킨 사람들을 지적하고 책임을 지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전날 자필 탄원서에 이어 이날 인터뷰에서도 현 정권의 핵심을 신군부에 비유한 이유에 대해 "신군부의 양태를 얘기한 것"이라며 "(서울의 봄 당시) 신군부는 힘으로 찍어 누르면 된다고 오판해 며칠 뒤 더 엄청난 일을 벌였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전 대표는 '윤 대통령의 사과나 유감표명을 원하느냐?'는 질문에는 "안 할 것이라 기대도 하지 않는다"며 "윤석열 정부의 특징은 아마 정치의 실종"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여권 내부에선 양측이 법적공방을 포함해 전면전을 벌이는 양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화해 가능성은 물 건너 간 것이고 이제는 어느 한 쪽이 완전히 무너지는 방식으로 결론이 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가처분신청이) 인용되면 제가 할 건 없고 당원들을 만나고 다니면서 소통할 것"이라면서 "기각된다면 본안소송에서 다툴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와 함께 이 전 대표는 공멸을 우려하는 보수진영에서 이 전 대표의 강경대응을 문제 삼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과거에도 보면 보수 정권에서 뭉개는 방식으로 가다가 더 큰 폭탄이 터진 경우가 많았다"며 "박근혜 정부 때 복지부동하던 사람들이 어떻게 됐느냐. 결국 정치를 그만두거나 옥고를 치른 분도 있는데 얘기해야 할 때 얘기하지 않았기에 공범이 된 것"이라고 대응수위를 높이고 있는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릴 글을 통해 "역사는 반복된다. 유승민 악마화해서 유승민 잡으러 다닌 정부가 유승민 때문에 무너졌느냐!"며 "핸드폰 열고 오매불망 '체리따봉'이나 많이들 기다리시길 바란다"라고 '윤핵관'을 직격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