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봉화청량산박물관은 임진왜란 당시 활동한 충효당 이장발(李長發·1574~1592)의 행적을 담은 국역서 충효당집을 발간했다.
이장발은 베트남 리왕조의 왕족인 이용상(李龍祥·1174~?)의 14세 손으로 봉화 창평리에 세거했던 인물이다. 임진왜란 당시 봉화 지역은 왜군의 점령지역도 아니었고, 나이든 어머니와 어린 자식이 있는 19세의 가장 이장발은 징집대상이 아니였다.
하지만 장발의 모친은 3대 독자이자 갓 성혼한 장발에게 전장으로 나아갈 것을 강하게 권유했고 이후 장발은 의병장 김해(金垓·1555~1593)의 서기로 참전해 문경에서 죽음을 맞게 된다.
이런 이장발의 안타까운 죽음과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들과 유림들이 1750년쯤 생가터에 사당을 건립하고 충효당(忠孝堂)이라 명명했다. 봉화 창평에 위치한 충효당은 화산이씨에 대한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유적으로 생가 옆에 위치한 유허비는 화산이씨와 관련, 남한지역에 남아 있는 유일한 금석문이다.
청량산박물관 관계자는 "충효당집에는 학서 류이좌(柳台佐·1763~1837)를 비롯해 문과 합격자 3명과 진성이씨 선비 4명 등 당대 지성인들의 글이 모여 있어 그 가치가 높다"며 "한국과 베트남의 오랜 역사적 교류를 상징하는 인물인 이장발의 국역서가 발간돼 향후 관련 유적의 정비와 문화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될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