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위원장의 과거 발언들이 국정감사장에 소환돼 여야 의원들의 질타를 받았다. 김 위원장은 자신의 실언에 사과를 거부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회의는 한 때 파행을 겪기도 했다.
12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은주 정의당 의원은 국감 증인으로 참석한 김 위원장에게 "노동운동가 출신이지만 누구보다 노조에 적대적인 김문수, 이런 수식어가 관용구처럼 붙어 다닌다"며 "과거부터 입에 담기도 민망한 노동조합에 대한 막말로 구설수에 오르고 대표적인 반노동인사가 됐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김 위원장의 과거 발언들을 문제 삼으며 사과를 요구했다.
'쌍용차 노조는 자살 특공대다', '노조는 머리부터 세탁해야 한다', '민주노총은 김정은 기쁨조다' 등 과거 막말에 대해 민주노총에 사과하라고 요구하자, 김 위원장은 "발언들을 너무 거두절미해서 자극적인 것만 잘랐다. 막말이라고 표현한 부분은 상당한 논의가 필요하다. 저렇게 써놓고 무조건 사과하라는 건 동의하기 어렵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제가 잘못된 것이 있으면 당연히 사과하겠다. 너무 포괄적이고 사과가 안 될 부분도 많이 말씀하셨다. 그렇게 (사과)하기는 어렵겠다"면서 사과를 거부했다.
그러자 이 의원은 '레드카드'를 손에 들고 김 위원장의 퇴장을 요구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 움직임을 '죽음의 굿판'으로 묘사했던 김 위원장의 발언을 거론하며 "사회적 공감이 떨어지고 극단적으로 얘기하는 사람이 경사노위 위원장을 할 수 있겠느냐"고 비판했다.
전용기 민주당 의원은 김 위원장이 과거 민주당을 '더불어 남로당'이라고 표현한 것과 '불법 파업에 손해배상이 특효약'이라고 했던 발언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경사노위라는 제도권에 있을 때와 광장에 있을 때 한 발언은 다를 수 있다"고 밝혔다.
전 의원은 2002년 두산중공업, 2011년 한진중공업에서 수십~수백억 원의 손해배상 소송에 시달린 노동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사례를 언급하면서 "(김 위원장처럼) 강하게 반노동 선동을 하시는 분들 때문에 지금 이런 일이 발생하는 거 아니냐"고 질책했다.
여당 의원들조차 김 위원장의 '막말' 논란에 우려를 표했다.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은 "전용기 의원이나 이은주 의원이 지적한 부분도 상당히 일리가 있다"고 말했고, 같은 당 지성호 의원도 "과도하게 일부 진영을 옹호한 것도 사실이고 노조 활동에 부정적인 목소리를 꾸준히 내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급기야 야당 의원들이 김 위원장 발언을 문제 삼으면서 증인을 고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박대수 국민의힘 의원 등 여당 의원들은 "명예훼손으로 별도 고발조치를 하고 국감은 정상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했지만, 전해철 환노위 위원장은 "증인 발언은 국회 모욕이라고 판단한다. 계속 국감을 진행하는 것보다 증인에 대한 처분과 조치를 결정한 뒤 재개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며 낮 12시쯤 정회를 선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