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잇단 '빅 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p〉인상) 단행으로 금리가 치솟으면서 국내 기업이 이자를 감당할 임계치를 넘어선 것 아니냐는 우울한 진단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업체 307개사를 대상으로 금리 인상 영향과 대응 실태를 조사했는데 응답 기업의 약 62%가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이자 부담에 따른 자금 사정 악화(68%)와 설비투자 지연 및 축소(29%), 소비위축에 따른 영업실적 부진(21%)을 주요 어려움으로 꼽았다.
영업이익과 생산·운영비용을 고려할 때 기업이 감내할 수 있는 금리의 한계 수준을 묻자 3.0%라고 답한 기업이 약 42%로 가장 많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 1천대 기업 중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자금 사정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가 이보다 더 낮은 평균 2.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기준금리가 연 3.0%를 넘어서면 결국 영업이익을 다 쏟아부어도 이자를 감당할 수 없는 이른바 '좀비기업'으로 전락하는 기업이 10곳 중 무려 6곳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 때문에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기업이 감내할 수 있는 금리 수준을 넘어서 자금 사정이 매우 어렵게 됐다"며 "물가 상승으로 생산 비용은 오르고, 자금 조달을 위해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어 이자 비용은 더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 같은 상황은 여러모로 여건이 취약한 중소기업에 더 큰 위기감으로 다가온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2일 논평을 통해 "중소기업은 코로나 사태 장기화에 이어 원자잿값 급등과 대출 금리인상, 글로벌 경기침체 등 대내외 경영 여건 악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금융통화위원회의 2회 연속 0.5%p 기준금리 인상 결정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현재와 같은 복합 경제위기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위기에 처한 중소기업이 쓰러지지 않도록 정책자금 지원 확대 등 적극적인 금융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금융권도 기준금리 인상 폭 이상의 과도한 대출금리 인상을 자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