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종인 "차기 당대표 판단기준 '친윤' 안돼…尹대통령 고민해야"

"한동훈 정치적 미래, 尹대통령 성공 여부가 가장 결정적 역할 할 것"
신평 "차기 총선 與 패배 시 尹 '식물 대통령'에 김종인과 전망 일치"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차기 당 대표 선출 판단 기준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친분관계 등을 앞세운 인사가 아닌 총선 승리에 효과적인 인물을 발굴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김 전 위원장은 19일 "당원들이 다음 총선에 가장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들을 대표로 선출해야 할 걸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친윤이 당 대표가 돼서 총선이 뜻대로 되지 않을 것 같으면 그다음에 정치적인 상황이라는 것은 우리가 이미 다 예측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남은 기간 윤 대통령도 정치적으로 많이 고민해야 한다"면서 "국회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려면 어떤 인물이 나에게 가장 효과적인가를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어 "단순히 '이 사람이 내 편이다' 해서 당 대표가 되길 바라는 건 안 된다"고 주문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대선 당시 윤 대통령을 공개적으로 지지한 신평 변호사는 최근 김 전 위원장과 만나 "2024년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패배한다면 그 후 윤 대통령은 식물 대통령으로 겨우 연명할 수밖에 없는 비참한 운명으로 떨어질 것"이라며 "이는 보수 정권의 몰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 변호사는 "윤석열 정부 가장 큰 결함은 인사 정책의 실패"라며 "내년 봄에는 거의 전면적 개각을 해서 참신한 인물을 국민 앞에 내세우는 것이 윤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김 위원장의 의견을 전했다.

김 전 위원장은 현재 거론되는 당권 주자들에 대한 평가도 내놨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라디오에서 당권주자인 안철수 의원에 대해 "지난 대선 때 단일화 과정에서 당시 대통령 후보였던 윤 대통령이 안 의원한테 어떤 언질을 혹시 주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해선 "2024년에 국회 진출이 가능해지면 정치적으로 소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게 불가능해질 것 같으면 정치 인생이 그걸로 마감될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총선 출마설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그는 "장관을 그만두면 변호사나 정치 입문 두 가지 길밖에 없다고 본다. 장관직에서 나올 때 일반 국민의 지지도가 어느 정도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