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만에 생산자물가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가스요금과 환율이 오르고 태풍 등의 영향까지 겹쳐 9월 생산자물가가 상승 곡선을 그렸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는 8월보다 0.2% 오른 120.16(2025년 100기준)을 기록했다. 전월과 비교한 생산자물가지수는 2020년 10월(-0.4%) 이후 1년 10개월 만인 지난 8월 (-0.4%) 하락세였으나 한 달 만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작년 9월에 비해 8.0% 올랐다.
생산자물가는 1개월 정도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 점을 고려할 때 9월 생산자물가가 상승세로 전환된 것은 향후 물가 상승 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기도 하다.
다만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한 생산자물가지수 상승 폭은 6월 10.0%에서 7월 9.2%, 8월 8.2%로 떨어졌다. 9월에는 8.0%까지 상승 폭이 줄었다.
8월과 비교해 품목별 등락률을 살펴보면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이 2.5% 올랐다. 도시가스 요금 인상 등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태풍 피해와 환율 상승 여파로 공산품이 0.1% 올랐다. 농림수산품은 0.1% 상승했다. 축산물(-3.0%)이 내렸으나 농산물(2.2%)과 수산물(0.1%)이 오른 탓이다. 서비스는 0.2% 떨어졌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9월 1.0% 상승했다. 이 지수는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표다. 이 지수도 2020년 11월(-0.2%) 이후 처음으로 지난 8월(-1.1%) 하락세를 기록했으나 한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됐다.
총산출물가지수(국내출하 외에 수출을 포함하는 총산출 기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표)도 비슷한 흐름이었다. 지난해 12월 이후 상승세를 그렸으나 지난 8월(-0.7%) 내림세를 기록했고, 9월(0.8%) 들어선 다시 상승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