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업창업특집] 대구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학생·지역 청년 취업 거점 역할

2016년부터 고용노동부의 일자리센터 사업 맡아 진행
올해는 경력개발시스템 고도화와 취업 지원 컨설팅 등 수행
반도체 직무아카데미도 성과, 이론과 실무 등으로 취업 연계

대구대 반도체기업 특화 채용박람회의 모습. 대구대 제공
대구대 반도체기업 특화 채용박람회의 모습. 대구대 제공

대구대(총장 박순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가 재학생과 졸업생뿐만 아니라 지역 청년을 위한 취업 지원 거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지방자치단체, 대학이 연계해 운영하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대학 내 진로 및 취업 지원을 일원화해 '원스톱 고용서비스'를 제공한다.

대구대는 2016년부터 고용노동부의 대학일자리센터 사업을 5년간(2016~2020년) 수행하면서 3차례에 걸쳐 우수 대학에 선정됐다. 그 성과를 인정받아 인센티브 사업을 1년간(2021년) 수행했다. 올해 2월 후속 사업인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의 거점형 운영대학으로 선정됐다.

이를 통해 ▷경력개발시스템 개발 및 고도화 ▷대면 및 비대면 취업 지원 시스템 구축 ▷일자리 발굴 및 매칭 ▷취업 지원 컨설팅 및 역량 강화 교육 ▷취업·생활·심리 통합상담 등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 3월부터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통해 진로와 취업 상담, 취업 지원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받은 학생 수는 모두 4만5천 명에 달한다. 이는 재학생(1만4천219명) 대비 수혜 인원 비율이 320% 수준이다. 대구대는 올해 7억5천만원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재학생과 지역 청년을 위한 맞춤형 취업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히 반도체 직무아카데미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국가 전략산업인 반도체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특화 프로그램인 반도체 직무아카데미는 반도체 관련 기초 이론과 관련 산업 현황 및 전망, 제조 공정 실무 업무, 기업 탐방 등의 교육을 진행한다. 2017년부터 진행된 이 프로그램을 통해 반도체 기업에 취업한 학생은 모두 328명에 이른다.

지난 6월 반도체 기업 특화 채용박람회를 열고 취업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 박람회에는 경기 파주·평택, 경북 구미의 반도체 기업 10곳이 참가해 기업 소개와 채용 면접, 취업 선배와의 토크콘서트 등을 진행했다. 사전 신청을 통해 채용 면접을 한 학생 중 8명이 최종 합격해 눈길을 끌었다. 11월에도 반도체 기업을 초청해 채용박람회를 열 계획이다.

대구대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 학생들이 교내에서 취업 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경산시와 연계해 출장 상담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K디지털 훈련, 국민내일배움카드, 청년취업성공패키지 등 다양한 청년고용정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