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최근 5년간 늘린 기업 10개 중 8개 이상은 시장 독점에 대한 심사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카카오가 신고한 인수·합병(M&A) 중 신고 내용의 사실 여부만 따진 뒤 승인했다.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대구 서구)이 공정위에서 받은 '카카오·네이버 기업결합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7년 8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카카오가 신고한 기업결합 62건 중 85.4%인 53건은 간이심사로 결합이 승인됐다.
공정위는 독과점 형성을 막기 위해 기업결합 신고를 받아 시장집중도, 경쟁 제한 효과 등을 심사하고 결과에 따라 가격 인상 제한 등 시정조치를 내린다.
하지만 신고된 기업결합 건에 대해 검토 초기 단계에서 경쟁 제한 우려가 없다고 판단되면 신고내용의 사실 여부만 따지는 간이심사를 진행한다.
'문어발 확장'으로 논란을 빚은 카카오의 경우, 기업결합이 대부분 간이심사로 승인됐다.
카카오가 5년여간 진행한 기업결합 62건을 통해 카카오와 지배관계가 형성된 기업은 91.9%인 57개였다.
그러나 카카오가 경쟁제한 완화 등을 위해 공정위로부터 시정조치를 받은 적은 없었다.
김상훈 의원은 "자유 시장경제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독과점 기업의 등장"이라며 "지난 정부는 간이심사를 통해 플랫폼 기업에 '문어발 프리패스'를 열어줬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