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재명 대선자금 폭로' 유동규 신변보호 시작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연합뉴스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난 대선 자금과 관련, 폭로에 나선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에 대해 경찰이 신변보호 조치를 하기로 결정했다.

▶25일 경찰 등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은 이날 오후 유동규 전 본부장 및 사실혼 관계인 A씨에 대한 신변보호 조치를 결정, 보호에 들어갔다.

신변보호 대상자에 대해서는 신변 경호를 비롯해 주거지 순찰 강화, 임시 숙소 제공, 전문 보호시설 연계, 위치추적장치(스마트 워치) 대여 등의 보호 조치가 이뤄진다.

유동규 전 본부장은 지난 20일 구속 기간 만료로 석방된 뒤 하루 만인 21일 법원에 신변 보호 요청서를 낸 바 있다. 다만 경찰은 유동규 전 본부장의 요청과는 별개로 신변 보호 조치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동규 전 본부장은 앞서 언론이 '건강이나 신변의 위협을 걱정하는 사람도 있다'고 묻자 "'자살 당한다', 이런 말도 나오고 별말 다 한다"며 이재명 대표 및 주변인들과 관련한 세간의 언급들을 지칭하면서 "인명재천이 아니겠나. 그런 거 염려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이같은 발언의 뉘앙스와는 달리 신변보호를 요청했고, 또 실제로 받게 된 상황이다.

2015년 뉴질랜드 출장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그 사이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기인 성남시의원 제공
2015년 뉴질랜드 출장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그 사이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기인 성남시의원 제공

▶유동규 전 본부장은 석방된 후 언론과 잇따라 인터뷰를 가지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21일 이재명 대표가 기자회견을 열어 "저 이재명은 단 1원의 사적 이익도 취하지 않았다. 오히려 온갖 방해에도 업자들로부터 70%의 개발이익, 즉 5천억원이 넘는 돈을 공공의 몫으로 환수했다. 정치자금은 커녕 사탕 하나 받은 것도 없다"는 등의 발언을 하자 "재판 중 잠시 기사를 봤다. 굉장히 재미있더라"며 "의리?"라고 한 뒤 웃고는 "이 세계는 그런 게 없더라. 내가 착각 속에 살았던 거 같다. 구치소에서 1년 명상하면서 깨달은 게 참 많다. 내가 너무 헛된 것을 쫓아다녔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다"고 털어놓은 게 대표적이다.

이어 24일에는 언론에 이재명 대표를 두고 "10년간 쌓인 게 너무나 많다. 급하게 갈 것 없다. (이재명 대표를)천천히 말려 죽일 것"이라고 하기도 했다.

또한 이재명 대표의 최측근들과 관련해서도 작심 폭로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4~8월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에게 8억원의 현금을 전달했고 '대장동 의혹' 수사가 시작된 후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비서실 정무조정실장 등이 자신을 회유하려고 연락해왔다는 등이다.

이들 역시 가리킨듯 유동규 전 본부장은 24일 언론에 "진짜 형들로 생각했다. 1년을 참아왔다"고 하기도 했다.

이들 4인의 나이는 이렇다. 이재명 대표가 1963년생으로 60세, 김용 부원장이 1968년생으로 55세, 정진상 실장이 역시 1968년생으로 55세, 유동규 전 본부장은 1969년생으로 54세 순이다.

앞서 그에 대해서는 삼국지에 빗대어 유비(이재명 대표)의 장비라는 수식이 붙었지만, 실제 유관장(유비, 관우, 장비) 삼형제는 따로 있었다는 게 그의 최근 폭로 및 전해지는 언론 보도들의 공통된 맥락이다.

그러면서 그의 '입'에 계속 시선이 향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동균, 정진상, 김용. 연합뉴스, 온라인 커뮤니티
유동균, 정진상, 김용. 연합뉴스, 온라인 커뮤니티

▶유동규 전 본부장에 대해서는 그가 구속 만료로 풀려나고 비슷한 시기 김용 부원장이 체포 및 구속된 것을 두고 더불어민주당이 '회유 의혹'을 제기하고 있기도 하다.

검찰은 유동규 전 본부장이 정민용 변호사(전 성남도개공 전략사업실장) 등과 공모해 김용 부원장에게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시기였던 지난해 4~8월 불법 대선 자금 8억4천700만원을 전달한 혐의를 제기하고 있는데, 이에 유동규 전 본부장이 형량을 낮추고자 검찰과 일종의 거래를 했고 또한 검찰이 유동규 전 본부장의 만기 석방을 지켜만 봤다는 게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고 있는 의혹의 골자이다.

그러자 유동규 전 본부장은 석방된지 이틀째 되는 날이었던 21일 저녁 재판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며 관련 언론 질의에 "최소한 뭐에 회유되지는 않는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