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내년 투자 규모를 올해보다 50% 이상 줄이기로 하는 등 금융위기 수준의 긴축 경영에 들어갔다. 이는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업황 악화로 올해 3분기 '어닝쇼크'(실적 충격)를 기록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SK하이닉스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조6천556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0.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공시했다. 매출은 10조9천829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7.0% 감소했다. 순이익은 1조1천27억원으로 66.7% 줄었다.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던 2분기(13조8천110억원)와 비교하면 매출은 20.5% 줄었고, 영업이익은 60.5% 감소했다. 3분기 영업이익률은 15%에 그쳤고, 순이익률도 10%에 불과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장기화와 각국의 금리 인상 등으로 거시경제 환경이 악화하는 가운데 반도체 D램과 낸드 제품 수요가 부진해 판매량과 가격이 모두 하락, 전 분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최신 공정인 10나노 4세대 D램(1a)과 176단 4D 낸드의 판매 비중 및 수율(결함이 없는 합격품의 비율)을 높여 원가 경쟁력을 개선했음에도, 원가 절감폭보다 가격 하락폭이 커서 영업이익도 크게 줄었다는 것이 SK하이닉스의 설명이다.
SK하이닉스는 이날 실적 발표에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하며 메모리 반도체 산업이 전례 없는 시황 악화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노종원 SK하이닉스 사업담당 사장은 이날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연초 기대와 달리 올해 하반기 메모리 시장은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며 어려운 사업 환경이 지속되고 있다"며 "팬데믹 기간 높은 성장세를 보인 IT 제품 수요의 기저효과로 인해 수요 감소 속도가 더욱 크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50% 이상 투자 축소) 2008∼2009년 금융위기 수준에 버금가는 투자 축소가 될 것"이라며 "올해 말 업계 재고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되는 만큼 생산 증가를 위한 웨이퍼 캐파(생산능력) 투자를 최소화하고 공정 전환 투자도 일부 지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급격한 수요 감소에 직면해 메모리 업체들은 투자 축소와 가동률 조정 등 공급 측면의 대응을 시작했지만 그 영향이 나타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한 만큼 수급 불균형이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감산 계획에 대해 노 사장은 "기존에 수요가 강하지 않았으나 우선 생산해놓고 수요를 찾는 수익성이 낮은 제품을 중심으로 우선 웨이퍼 투입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