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野 "사고 사망자→참사 희생자로 불러야" vs 與 "尹 대통령도 참사라 표현해"

송두환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국가인권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송두환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국가인권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2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열린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태원 참사에 대한 정부의 공식 표현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부가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이태원 사고 사망자로 표현한 것과 관련해 인권위의 공식 입장을 물었다.

오영환 의원은 "참사 희생자 대신 사고 사망자 등 정부의 모든 지침과 발언 등에서 드러나는 정부의 태도, 이런 논란이 발생하는 자체가 이런 참사로부터 마땅히 보호받아야 하는 국민의 기본 권리가 침해당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수흥 의원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합동 분향소가 어떻게 명기돼 있는지 아나.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라며 "희생자와 유가족, 국민의 인권을 보호하고 책임져야 할 인권위가 정부에 조치를 (건의)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송두환 인권위원장은 "저희들이 그게 권고사항인지 생각해봐야겠다"며 "내부 논의를 하겠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정쟁화를 시도하고 있다고 맞섰다.

장동혁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에서 이미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나서는 안 될 비극과 참사'라고 발언해 이미 참사라는 용어를 썼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다만 재난안전관리기본법에 의하면 사회재난은 사고라는 용어를 법률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피해자를 사망자, 실종자, 부상자 등으로 표현한다"며 "행정부에서 용어를 사용한 걸 갖고 마치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거나 진실을 덮을 것처럼 발언하는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송 위원장은 정부의 공식 표현 논란에 대해 "참사냐 사고냐, 희생자냐 사망자냐 이런 부분에 관해서는 저희가 더 논의해보긴 해야겠지만, 이 부분은 현재 단계에선 선택의 문제라 생각한다"면서 "어느 용어를 금기시하는 건 불가하니, 자연스럽게 이 용어는 한쪽으로 통일돼 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예정됐던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는 이태원 참사 관련 현안질의 여부를 둘러싼 여야 충돌로 파행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